국자통망(國子通望)이라고도 하였다. 반(泮)은 성균관 옆을 흐르는 반수(泮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에 연유하여 성균관을 반궁(泮宮), 대사성을 반장(泮長)이라고 칭하였다.
통(通)은 통망(通望), 즉 관직임용의 3배수 후보[三望]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반통은 반장, 즉 대사성의 후보로 추천되는 것을 지칭하였다. 이를 또 성균관의 별칭에 의하여 국자통망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대사성은 성균관의 실질적인 장관이며, 유생(儒生)의 사표로서, 그 선임이 특히 신중하였고, 정3품 당상관원 중 명망이 높은 사람을 추천하였다. 따라서, 반통에 오르는 것은 곧 그 학식과 인품을 인정받는 것이었다. 조선시대에는 반통에 오르는 것이 출세의 지름길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의 세자시강원 겸보덕이나 이조참의직은 반통의 차례에 따라 추천, 임용되었다. 단 부제학 후보에 오른 사람이나 산림(山林)으로 명성이 높은 사람은 예외로 이조참의에 추천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