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치 (balgachi)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몽고식 군대.
이칭
이칭
팔가적(八加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몽고식 군대.
내용

고려시대에 창고의 경비를 맡아보던 몽고식 군대이다.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창설되었다. 한자어로는 ‘八加赤(팔가적)’으로 표기한다. 몽고어로 ‘발가(八加)’는 창고를 말하는 것이며, ‘치(赤)’는 사물을 담당하는 사람을 칭하는 말이다.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에 1344년(충혜왕 복위 5)에 내승(內乘)과 응방(鷹坊)을 폐지하였는데, 당시 입사(入仕)한 자로 7품 이하 9품 이상인 자는 홀지(忽只) 4번(番)에 분속시키고, 대정(隊正)과 산직(散職)은 발가치·자로치(詔羅赤·照羅赤)·순군(巡軍) 4번(番)에 분속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高麗史に見えたる蒙古語の解釋」(白鳥庫吉, 『東洋學報』18-2, 192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