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괄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일반 백성들이 관부에 억울한 사정을 하소연하기 위하여 올리는 청원서.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내용 요약

발괄[白活]은 조선시대에 일반 백성들이 관부에 억울한 사정을 하소연하기 위하여 올리는 청원서이다. 발괄의 뜻은 억울한 사정을 글이나 말로 관아에 하소연한다는 이두 표현인데, 그 의미가 확대되어 문서명으로 사용되었다. 서식은 일반적으로 소지와 가장 유사하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일반 백성들이 관부에 억울한 사정을 하소연하기 위하여 올리는 청원서.
내용

조선시대에 일반 백성이 여러 사안으로 주1에 올리는 청원서, 진정서, 소장에 해당하는 문서이다. 소지(所志), 등장(等狀), 단자(單子), 원정(原情), 의송(議送), 상서(上書)와 같이 소지류(所志類)에 속한다. 서식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소지와 가장 유사하다.

발괄[白活]이란 억울한 사정을 글이나 말로 관아에 하소연한다는 뜻의 이두 표현이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 유서필지(儒胥必知)』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괄은 사대부가 주2의 이름으로 올리는 소장의 주3에서 ‘모부모동거모택노모발괄(某部某洞居某宅奴某白活)’로, 또한 일반 백성이 올리는 소장의 시면에서 ‘모지거한량모발괄(某地居閑良某白活)’로, 여인이 올리는 소장의 시면에서 ‘모지거모소사발괄(某地居某召史白活)’로 나타난다. 이때 발괄은 문서명 또는 이두 표현으로 ‘어디에 사는 아무개가 하소연합니다.’라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현재 전하는 발괄을 살펴보면, 첫 번째는 『유서필지』와 동일한 양식으로 작성된 발괄은 시면 다음의 주4가 주로 ‘위와 같이 삼가 소지를 올립니다[우근진소지의단(右謹陳所志矣段)]’로 나타난다. 두 번째는 발괄의 시면이 ‘성주께 바치는 발괄[성주전발괄(城主前白活)]’로 기재되면 기두는 ‘진실로 황공하옵게 우러러 인감을 번거롭게 하옵니다[성황성공앙독인감(誠惶誠恐仰瀆仁鑑)]’ 등으로 나타난다. 이는 같은 소지류인 단자의 기재 방식과 유사하다.

의의 및 평가

발괄은 억울한 사정을 하소연한다는 이두의 의미가 점차 확장되어 소지와는 달리 별도의 발괄이라는 문서명으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일반 백성이 관찰사에게 올리는 청원서인 의송과도 유사한 현상이다. 또한 조선시대 백성들이 다양한 명칭의 소지류를 사용하였던 현상과도 괘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전경목 외 옮김, 『유서필지-고문서 이해의 첫걸음』(사계절, 2006)
최승희,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지식산업사, 1989)

논문

이다희, 「조선후기 단자 연구」(『고문서연구』 53, 한국고문서학회, 2018)
김경숙, 「16세기 청원서의 처리절차와 의송의 의미」(『고문서연구』 24, 한국고문서학회, 2004)
주석
주1

정부나 관청.    우리말샘

주2

예전에, 남자 종을 이르던 말.    바로가기

주3

서면(書面)의 첫머리.    바로가기

주4

글의 첫머리.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