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상감 모란문 병 ( )

목차
관련 정보
백자 상감모란문 병
백자 상감모란문 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의 백자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자 상감모란문 병(白磁 象嵌牡丹文 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4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백자병.
내용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9.6㎝, 입지름 7.4㎝, 밑지름 9.6㎝. 호림박물관 소장. 짧은 목에 나팔처럼 벌어진 입 부분에 몸체가 풍만하고, 약간 높은 굽다리를 지닌 전형적인 조선 초기의 술병이다. 흑상감(黑象嵌) 기법으로 목 부분에 두 줄씩의 선을 위아래로 각각 두르고, 그 사이에 파상선문 모양의 간결한 당초문(唐草文)을 두었다. 몸체의 중심에는 단순화된 모란문 한송이를 큼직하게 나타내고, 다른 면에는 변화를 준 작은 모란문을 배열한 뒤 이 두 모란문을 연결하는 모란 줄기를 율동감 있게 흑상감으로 나타내었다.

유약(釉藥)은 담청색을 머금은 회백색의 백자유가 전면에 고르게 시유(施釉)되었으며, 미세한 유빙렬(釉氷裂)이 나 있다. 태토(胎土)는 정선되어 얇고 가벼우며, 굽다리에는 유약을 훑어내고 모래받침을 하여 구워냈다. 목부분에는 유색이 변색되어 검은 점들이 나 있으며 굽다리에 작은 흠이 있다.

의의와 평가

백자에 이러한 흑상감 기법을 사용하여 문양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 청자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15세기 전·후반에 걸쳐 계속되었다. 특히 문양은 분청사기상감문(粉靑沙器象嵌文)에서부터 모란문 등의 소재를 빌려온 예가 있다.

술병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병은 백자가 주는 부드러운 흰색의 바탕 위에 흑상감으로 된 단순하고 큼직한 모란문의 의장이 풍만하고 안정감 있는 기형 위에 잘 어울려 있다. 백자상감의 요지로는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에 있는 15세기 후반경의 백자요가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국보 -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조선도자의 변천」(윤용이, 『조선시대도자명품도록』, 덕원미술관, 199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