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상감 모란잎문 편병 ( )

목차
관련 정보
백자 상감모란잎문 편병
백자 상감모란잎문 편병
공예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의 백자편병.
이칭
이칭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자 상감모란잎문 편병(白磁 象嵌牡丹葉文 扁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4년 08월 3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백자편병.
내용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3㎝. 개인 소장. 약간 밖으로 말린 주둥이와 양쪽으로 편평한 둥근 몸체에 타원형의 굽다리가 붙어 있는 편병으로, 양측면에 몸체를 나누어 만들어서 붙인 자국이 남아 있다. 기벽과 굽다리는 두껍게 하고 주둥이는 얇게 만들었다.

양쪽의 둥근 면 가운데와 가장자리에는 흑상감(黑象嵌) 수법으로 각각 두줄과 세줄의 원을 두르고 그 사이에 모란잎문[牡丹葉文]을 대칭으로 포치하였는데, 모란잎은 농담의 변화를 준 면상감(面象嵌)으로, 거칠게 표현되었다. 가운데의 이중으로 된 원에는 당초문(唐草文)이 한두 가지씩 뻗어 있다. 유색(釉色)은 담회백색(淡灰白色)으로 반투명유이며, 태토(胎土) 역시 담회색이다. 굽다리는 타원형으로 따로 만들어 붙였으며 모래받침으로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상감기법의 백자는 고려시대의 상감백자로부터 비롯되어,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양이 간략해지거나 단순해지고 큼직하게 시문되어 조선시대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준다. 조선시대 초기인 15세기 전·후기에 걸쳐 널리 만들어졌다.

양감이 있는 당당한 모습에 양쪽 면이 편평하게 된 편병은 예가 드문 것으로, 시문된 문양도 대담할 뿐 아니라 좌우면에 변화가 있어 다양한 구성을 보여준다. 야외용의 술병이나 물병으로 사용되었으며, 경기도 광주군 일대의 우산리, 무갑리 요지 등이 제작지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