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3㎝. 개인 소장. 약간 밖으로 말린 주둥이와 양쪽으로 편평한 둥근 몸체에 타원형의 굽다리가 붙어 있는 편병으로, 양측면에 몸체를 나누어 만들어서 붙인 자국이 남아 있다. 기벽과 굽다리는 두껍게 하고 주둥이는 얇게 만들었다.
양쪽의 둥근 면 가운데와 가장자리에는 흑상감(黑象嵌) 수법으로 각각 두줄과 세줄의 원을 두르고 그 사이에 모란잎문[牡丹葉文]을 대칭으로 포치하였는데, 모란잎은 농담의 변화를 준 면상감(面象嵌)으로, 거칠게 표현되었다. 가운데의 이중으로 된 원에는 당초문(唐草文)이 한두 가지씩 뻗어 있다. 유색(釉色)은 담회백색(淡灰白色)으로 반투명유이며, 태토(胎土) 역시 담회색이다. 굽다리는 타원형으로 따로 만들어 붙였으며 모래받침으로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상감기법의 백자는 고려시대의 상감백자로부터 비롯되어,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양이 간략해지거나 단순해지고 큼직하게 시문되어 조선시대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준다. 조선시대 초기인 15세기 전·후기에 걸쳐 널리 만들어졌다.
양감이 있는 당당한 모습에 양쪽 면이 편평하게 된 편병은 예가 드문 것으로, 시문된 문양도 대담할 뿐 아니라 좌우면에 변화가 있어 다양한 구성을 보여준다. 야외용의 술병이나 물병으로 사용되었으며, 경기도 광주군 일대의 우산리, 무갑리 요지 등이 제작지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