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상감 연화당초문 대접 ( )

목차
관련 정보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공예
유물
문화재
조선 전기의 백자 대접.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白磁 象嵌蓮花唐草文 大?)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보(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백자 대접.
내용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7.6㎝, 입지름 17.5㎝, 밑지름 6.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백자의 계통을 이은 것으로, 태토(胎土)는 석고와 같은 질감이고 기벽은 얇고 유약(釉藥)에는 아주 미세한 빙렬(氷裂)이 있으며 얇게 시유(施釉)되었다.

입 부분이 밖으로 굽어지고 굽은 직립되었다. 문양은 내부 입 주변에 간략화된 당초문대(唐草文帶)를 두르고 바깥면에는 입 부분 아래와 밑부분 가까이에 각각 두 개의 띠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예리하고 유려한 연화당초문을 상감(象嵌)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백자상감류는 15세기 중반경에 주로 만들어진 것으로, 대체로 경상도와 일부 지역의 지방 가마에서 고려의 수법을 계승하면서 새 시대의 양식을 소화, 발전시킨 것이다.

참고문헌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조선전기 분청과 상감백자에 관한 연구」(김영원, 『고고미술』153, 한국미술사학회,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