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묵서묘법연화경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1377년 단속사의 대선사 원규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법화경』을 백지에 먹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목차
정의
1377년 단속사의 대선사 원규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법화경』을 백지에 먹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내용

국가유산 지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호림박물관 소장 권1~7(국보, 1984년 지정). 7권 7첩. 1377년(우왕 3) 원규(元珪)가 그의 죽은 어머니 철성군 부인 이씨(鐵城郡夫人李氏)의 명복을 빌고, 아버지인 중대광진성군(重大匡晉城君)의 장수를 빌기 위하여 사성(寫成)한 첩장본(帖裝本)이다.

각 권의 표지는 금니(金泥)의 보상화문과 은니(銀泥)의 당초문으로 장식되어 있고, 가운데 금니쌍선 장방형 안에 경명(經名)을 금서(金書)하여 장엄, 화려하다. 또한 각 권의 머리에는 설법변상(說法變相)의 도상(圖像)이 금니세필로 아름답게 그려졌으며, 이어서 경문이 금니계선 안에 달필의 필서체로 정서되었다. 이 경은 변상도와 사성기(寫成記)를 골고루 갖추고 있고 정교하게 필사된 사경으로 보존상태 또한 매우 양호하다.

더구나 권말의 묵서(墨書)로 1443년(세종 25)경에 일본으로 유출되어 1605년(선조 38)에는 광대원(廣大院)의 소장품이었던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최근에 일본에서 다시 찾아온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호림박물관에 있다.

(2) 광흥사 소장 권1,3(보물, 1963년 지정). 2책. 이 사경은 1389년(창왕 1) 장씨 부인의 발원에 의하여 사성된 것이다. 권1과 권3의 크기가 다르고 글씨도 각필(各筆)로서 오랜 시일 동안에 사성된 점사경(漸寫經)인 것으로 여겨진다.

크기는 권1이 37.5×13.5㎝, 권3이 34.7×12.5㎝이고 상하쌍변(上下雙邊)은 금니(金泥)로 되어 있다. 권3의 첫머리에 금니로 된 변상도(變相圖)가 있고 권말에는 사기(寫記)가 있는데, 이것에 의해서 고려 말에 돌아가신 부모와 일체중생을 위해 발심(發心)하여 사성된 개인공덕경(個人功德經)임을 알 수 있다.

글씨는 당시 유행했던 서체로 달필이며 정교하다. 그리고 각 권의 표지는 보상화문(寶相花文)이 금니로 장식되어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광흥사 소유로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권7(보물, 1992년 지정). 1권 1첩. 1405년(태종 5)에 백지에 먹으로 쓴 『법화경』으로 『묘법연화경』 7권 가운데 마지막 권이다. 권말의 각지(角之)가 쓴 발문에 의하면 도인 신운(信雲)이 돌아가신 자기의 부모가 화택(火宅)에서 벗어나 윤회(輪廻)가 없는 열반에 이르도록 하기 위하여 사성(寫成)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때 이 『법화경』 외에도 『범망경(梵網經)』 · 『금강경(金剛經)』 ·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을 함께 사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본문 글씨는 먹으로 쓰고 표지는 금 · 은니로 정교하게 장식하였다고 하였는데, 이 사경에는 표지가 결실되어 있다. 당시 제작 경비는 상국(相國) 한상식(韓尙植)의 부인 윤씨(尹氏)와 여성군(驪城君)민무질(閔無疾)의 부인 한씨(韓氏) 등의 시주로 이루어졌다. 이 사경은 출가한 승려가 돌아가신 부모를 위해 제작한 조선 초기의 사경으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참고문헌

『국보』12: 서예·전적(천혜봉 편, 예경산업사, 1985)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