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독서기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윤휴가 경전에서 어려운 어구나 내용들을 가려 연구한 뒤 얻은 해답을 기록한 비망록. 독서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윤휴가 경전에서 어려운 어구나 내용들을 가려 연구한 뒤 얻은 해답을 기록한 비망록. 독서기.
내용

10권 2책. 연활자본. 1934년 8대손 신환(臣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자서와 홍승표(洪承杓)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신환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은 『중용』에 관한 것으로 장구차제(章句次第)·분장대지(分章大旨)·주자장구보록(朱子章句補錄), 권2는 『대학』에 관한 것으로 고본별록(古本別錄)·대지안설(大旨按說), 권3∼5는 『효경』에 관한 것으로 효경장구(孝經章句)·고금문고이(古今文考異)·예기애공문인도(禮記哀公問人道)·서명(西銘)·가어애공문정(家語哀公問政)·맹자허행변(孟子許行辨)·예기대전(禮記大全)·소기략(小記略)·노론요왈(魯論堯曰)·이아친속기(爾雅親屬記)·관씨제자직(管氏弟子職)·명기편(名器篇)·고요모(皐陶謨)·만장문(萬章問)·미자(微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6은 고시경고(古詩經攷)·상서수필(尙書隨筆)·홍범경전통의(洪範經傳通義), 권7은 주례(周禮)·예기(禮記)·독춘추(讀春秋), 권8∼10은 관례(冠禮)·혼례(婚禮)·삼년문(三年問)·제의(祭義)·신시(愼始)·본교(本敎)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용분장대지」에서는 천명(天命)·중용·비은(費隱)·행원(行遠)·여왕(女王)·박학(博學)·자성(自成)·성인·중니·상강(常綱) 등으로 세분한 뒤 그 중요한 부분과 대지를 설명하였다.

「대학고본」에서는 고본과 현행본의 차이나는 곳을 지적하고, 고본이 옳다고 생각나는 곳은 고본을, 현행본이 옳다고 생각되는 곳은 현행본이 옳다고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효경장구」에서도 고이목록(考異目錄)을 만들어 차이가 나거나 틀렸다고 인정되는 곳을 뽑아 지적하고, 틀렸다고 생각되는 까닭을 밝혔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