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산 봉수대 ( )

목차
관련 정보
창원 봉화산 봉수대 정측면
창원 봉화산 봉수대 정측면
통신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있는 고려후기 봉화산 정상에 위치한 봉수대. 시도기념물.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있는 고려후기 봉화산 정상에 위치한 봉수대. 시도기념물.
내용

1997년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무학산 줄기인 해발 265m의 봉화산에 있으며 고려 말에 왜구의 침입을 서울에 알리는 신호수단으로 쌓은 것이라 추정된다.

봉화산 봉수대는 간봉(間峰) 6로로서 처음 부산 다대포봉수대에서 시작하여, 진해고산봉수대→봉화산봉수대→함안안곡산봉수대→창녕 · 현풍노산봉수대를 거쳐 최종적으로 서울 목멱산(남산)봉수대로 연결되었다.

봉수제도는 고려 의종 3년에 서북병마사 조진약(曺晉若)의 주청에 의하여 처음 시작되었고, 세종 원년(1419)에는 봉수령을 제정 군사제도로 정착되었다.

봉화방법은 밤에는 불로, 낮에는 연기로 하였으며, 신호체계는 아무일이 없을 때에는 1거(炬), 적이 바다에 나타나면 2거, 해안에 가까이 오면 3거, 우리 병선과 접전하면 4거, 육지에 상륙하면 5거로 하였다. 이러한 신호는 즉각 오장이 각 지방 수령에게 보고하였고, 서울에서는 병조에서 관장하여 승정원에 보고, 임금께 상주되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범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