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은 재앙과 질병을 유발시키는 생리적, 물리적, 정신적, 윤리적 더러움을 뜻한다. 동티, 살(煞), 추악이라고도 한다. 생리적, 물리적 부정이란 더러운 물건 혹은 부패한 물건들과 관계가 있다. 정신적, 윤리적 부정은 더러움, 부패, 변형에서 유추된 불쾌감이나 혐오감이다. 한국민속에서 죽음, 여성, 타인/타처는 큰 부정이다. 죽음에 대한 부정은 시신 때문이기도 하지만, 죽음으로 인한 공포감 때문이다. 여성에 대한 부정은 출산에 따르는 피를 오염된 것이라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타인/타처에 대한 부정은 미지의 세계로, 관리가 미치지 못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한 말로 동티 · 살(煞) · 추악(醜惡) 등이 있다. 부정은 재앙이나 질병을 직접 유발하기도 하고, 그와 함께 부정이 악귀를 자극하거나 신령의 노여움을 촉발함으로써 부정이 재앙이나 질병을 몰고 오는 것으로 민간신앙에서 믿어진다.
부정이 오염(汚染)이라면 그것은 당연히 정결함과 대립된다. 특히 굿판에서 이 ‘오염 · 정결’의 양분적 대립은 매우 중추적인 구실을 한다. 굿거리에 부정거리가 있듯이 굿의 성공 여부가 바로 이 양분적 대립의 조절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굿의 진행과정에서 신내림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든지, 혹은 공수가 쉽사리 얻어지지 않는다든지, 점괘가 잘 맞지 않는다든지 할 때, 그 원인을 무당들은 굿을 올리는 단골의 부정한 탓으로 돌리는 것이 상례이다. 그런가 하면 가정집의 제사에서도 부정을 피하고 정결함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지켜지고 있으니 한국인의 부정의식을 엿볼 수 있다.
한국민속신앙에서는 성(聖)과 속(俗)의 양분적 대립과 거의 같은 비중을 행사하는 것이 부정과 정결의 대립이라 하겠다. 그러나 성과 속이란 말이 추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용어라고 한다면 민속 현장에서 실제로 구체적인 기능을 다하는 비율은 부정과 정결의 대립 쪽이 우세하다. 물리적으로 부정이란 더러운 물건 혹은 부패한 물건들과 깊이 관계가 있다.
거름이나 두엄이 부정이고 배설물이 부정인 것은 그 좋은 본보기다. 죽음(및 주검)이 부정인 까닭도 시신(송장)의 썩음과 무관하지 않다. 성행위가 부정으로 간주되는 이유도 같은 데서 찾을 수 있다. 그밖에도 이상야릇한 것, 비정상적인 몰골을 한 것 등도 부정의 대상이 된다.
한편, 정신적인 혹은 윤리적인 범주에 들 부정들의 속성을 두고도 더러움 · 부패 · 변형 등을 생리적 · 물리적 범주의 부정의 경우에서 유추할 수 있다. 더러움 · 부패 · 변형 등과 접촉하거나 그것들에 감염되면 재난이나 질병이 유발된다는 점 때문에 부정은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피하고 멀리 하기만 하는 금기가 아니라 겁을 먹고 피하게 되는 것이 부정이기도 한 셈이다.
이 공포감은 더러움 · 부패 · 변형 등에 따르기 마련인 불쾌감이나 혐오감이 보다 더 적극화된 결과이다. 이 혐오감이나 불쾌감 때문에 부정은 일상생활에서 문제되는 아주 관습적인 속신(俗信)들과 부분적으로 겹치게 된다. 재수 없다고 믿고 있는 속신의 대상들로 불구자의 경우가 그 좋은 본보기이다.
각종 마을 굿들의 사례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게 되면 한국민속신앙의 테두리에 세 가지 큰 부정이 있음을 알게 된다. 곧 죽음 · 여성, 그리고 타처(또는 타인)이다. 죽음에 관한 부정의식은 죽음에 따르는 시신의 변색 · 경직 · 부란 때문에 유발되기도 하지만, 달리 죽음으로 말미암은 공포감 때문에 유발되기도 한다. 살 가운데서도 상문(喪門)살, 곧 초상집에서 묻어 오는 살이 아주 무서운 것은 직접 이 공포감과 맺어져 있다.
사령공포의 바닥에는 부정인 죽음에 대한 공포감이 깔려 있다. 마을굿을 전후해서 죽는 사람이 있게 되면 굿이 연기 또는 취소되거나 아니면 초상이 굿이 끝난 뒤로 미루어지기도 한다. 여성에 대한 부정의식은 마을 굿 치르는 동안 일반적으로 엄격히 금기시 된다.
특히, 출산은 아주 심하게 통제된다. 마을 굿을 전후하여 출산이 예상된 임부는 마을을 미리 나가 있게 한다. 이 경우는 출산에 따르는 피가 오염된 것이란 느낌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마을 굿이 진행되기 전부터 제주를 비롯해서 마을 굿을 관장하게 되는 요원들은 엄하게 부부 각방을 강요당하는 것도 여성부정의 한 표현인 것이다.
마을 굿을 앞두고 혹은 그것이 진행되는 동안, 특히 마을신령에 대한 고사가 치뤄지기까지는 바깥 사람이 마을에 드나들면 부정을 타게 된다고 믿는다. 마을 사람일지라도 마을 굿에 앞서 마을로 돌아와야 한다. 타인 및 타처(외방)는 미지의 세계이고 관리가 미치지 못하는 세계이다. 따라서 그것은 위험에 찬 대상으로 범주화되는 것이다.
부정은 금기와 늘 짝이 되어 존재한다. 금기의 대상이 전부 부정인 것은 아니나 모든 부정이 금기대상이다. 민속현장에서 쓰이는 ‘궂은 것, 흉한 것을 가린다’는 것은 무엇보다 부정과 금기가 짝을 이룬 좋은 본보기이다. 부정은 일상적 시간과 공간이 신성한 시간과 공간으로 변모하는 데 따른 민간의식을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이다. 한국인의 기저에 놓인 의식을 연구하는 데에 긴요한 연구과제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