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을 치면서 추는 춤.
북은 수렵할 때나 전투·제의(祭儀)에서 신악기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북춤의 유래는 북을 연주하며 춤을 추는 데서 찾아야 한다. 요즘에는 모내기를 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하여 농악의 편성에서 북놀이춤을 추는가 하면, 불교의식에서도 법고춤이라 하여 북을 치면서 춤을 춘다. 그러나 본격적인 북춤은 역시 농악에서 볼 수 있다.
농악에서의 북춤은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발달하였는데, 경상도형의 북춤은 철저하게 원박에 맞춘 집단무용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전라도형 북춤은 북 치는 가락이 섬세하고 다양하며 맺고 얼렀다 푸는 묘사가 뚜렷이 나타난 개인무용적 성격을 띠고 있다.
북춤의 기본은 가락을 연주하는 것과 가락 사이에 춤을 추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형은 외북채로 치면서 추는 춤과 쌍북채로 치는 춤이 있다.
외북채로 치는 경우 북을 몸 앞에 받치고 치는 것과 북끈을 손에 말아서 얼굴 앞으로 올려서 치는 것이 있으며, 쌍북채로 치는 경우 북을 몸 앞에 받치고 양손으로 친다. 북춤으로 유명한 밀양지방의 외북채의 북춤과 쌍북채로 추는 진도북춤을 예로 북춤의 춤사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외북채로 추는 북춤은 삼진삼퇴(三進三退), 1박에 두 발 들기, 제자리 회전, 연풍대, 까치걸음, 발 벌리고 북치기, 한 발에 북을 받치고 춤추기, 두루걸이, 덧보기춤 등이, 쌍북채로 추는 북춤은 어깨춤, 빠른 걸음으로 회전, 제자리뛰기, 연풍대, 자반뛰기, 옆으로 다리들기, 북치고 양손 옆으로 들기, 갈짓자뛰기 등이 있다.
북춤의 멋은 북의 복판과 북 굴레인 궁편을 원박에 치거나 장단 사이에 번갈아치는 데 있고, 또한 한 장단을 먹고 긴춤을 추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