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과학기술
개념
길이나 무게를 재는 계량단위. 중량단위.
목차
정의
길이나 무게를 재는 계량단위. 중량단위.
내용

길이 단위에서의 분은 한 치[寸]의 10분의 1의 길이 단위로 옛날에는 최소 단위 길이였으나, 과학기술의 발달로 더 세밀한 길이 표준이 필요하여 한 치를 10등분하여 그 10분의 1의 길이 단위명을 나눈 것이다. 따라서 한자의 길이에 따라 1분의 길이도 변하게 된다.

무게 단위로서의 분은 조선시대까지의 최소 중량 단위명이었는데, 그 무게는 0.4012g이었다. 1902년(광무 6)에 도량형제도가 일본의 도량형으로 바뀔 때부터는 그 표준량도 0.375g으로 되었으며, 보조 단위명도 더 세분화되었다. 즉, 10총(怱)=1사(絲), 10사=1모[毫], 10모=1리(釐), 10리=1분(分), 10분=1돈[錢], 10돈=1냥(兩)=37.5g, 16냥=1근(斤)=600g으로 되었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이조척도표준(李朝尺度標準)에 관(關)한 고찰(考察)」(박흥수, 대동문화연구소, 1967)
집필자
박흥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