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소의 ()

목차
불교
개념
탐심의 제거 차원에서 헌 천을 주워다 빨아서 지은 가사(袈裟)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백납(百衲) · 납의(衲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탐심의 제거 차원에서 헌 천을 주워다 빨아서 지은 가사(袈裟)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백납(百衲) · 납의(衲衣).
내용

이 버린 천은 똥을 닦는 헝겊과 같으므로 분소의라 한다. 또 이 헌 천의 조각조각을 기워 모아서 만든 옷이므로 백납(百衲) 또는 납의(衲衣)라고도 한다.

비구가 이 옷을 입는 것은 탐심(貪心)을 여의기 위한 것으로, 도를 닦는 이는 검소로써 표본을 삼아야 하기 때문에 분소의를 많이 입는다. 오늘날에도 평생 한벌의 분소의를 입고 지내는 청렴 수도승이 많이 있는데, 청렴 수도인을 납자(衲子)라고 하는 것도 이 납의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선가귀감(禪家龜鑑)』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