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원오선사벽암록 ()

목차
관련 정보
불과환오선사벽암록
불과환오선사벽암록
불교
문헌
국가유산
『벽암록』을 을유자로 1465년에 간행한 불교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불과환오선사벽암록(佛果?悟禪師碧巖錄)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활자본/금속활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1년 09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백둔로 21-162 (북면, 대원사 대웅전) 대웅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벽암록』을 을유자로 1465년에 간행한 불교서.
내용

10권(권1∼10) 5책. 동활자본.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원래 이 책은 송나라 설두중현(雪竇重顯)이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서 참선에 참고 되는 공안(公案) 100개를 뽑아 송(頌)을 달고 여기에 원오극근(圜悟克勤)이 평석(評釋)을 붙인 것이다.

1125년(인종 3) 극근의 제자에 의해서 편집 간행되었다. 그 뒤 극근의 제자 대혜선사(大慧禪師)가 이 책으로 인해 선(禪)을 형식화하고 흉내만 내는 구두선(口頭禪)에 빠질까 우려하여 간본(刊本)을 회수하여 태워버렸다. 그 뒤 장명원(張明遠)이라는 사람에 의하여 중간된 것이 유통되었다.

이 책을 찍은 을유자(乙酉字)는 『원각경』을 찍기 위하여 세조의 명으로 정난종(鄭蘭宗)의 글씨를 자본(字本)으로 주조한 큰자 · 중간자 · 작은자의 동활자인데 자체가 고르지 않아 별로 이용되지 않았던 활자이다.

『벽암록』은 그 동안 육당문고(六堂文庫)의 것이 1317년(충숙왕 4)에 간행된 것으로서 최고본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중간본의 후서(後序)의 연대를 간기로 잘못 이해한 것이었다.

이 책은 본문 몇 장이 결실되어 같은 판본인 일본의 다이토큐문고(大東急文庫) 소장본과 비교해 보면 권머리에 서문 4편이 빠져 있다. 이 책은 중국의 임제종(臨濟宗)에서 최고의 지침서로 꼽혔던 것으로 우리나라 선가(禪家)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 책이다.

또한, 조선 세조 때 주조한 것으로 판본이 희귀한 을유자로 찍은 동활자본으로 벽암록 가운데 완질이고 현존 국내 최고본(最古本)이다. 삼성출판박물관에 있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천혜봉·박상국, 문화재관리국, 199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