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나이 (Brunei)

외교
지명/국가
아시아 동남부에 있는 왕국.
이칭
이칭
브루나이다루살람, Negara Brunei Darussalam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아시아 동남부에 있는 왕국.
개관

정식 명칭은 브루나이다루살람(Negara Brunei Darussalam)으로, 영연방의 하나이다. 보르네오섬 북서 해안에 위치하며, 면적은 5,765㎢, 인구는 42만 9646명(2015년 현재), 수도는 반다르 스리 베가완(Bandar Seri Begawan)이다.

종족구성은 말레이인 67%, 중국계 15%, 토착원주민 6% 등이다. 언어는 말레이어와 영어, 중국어를 사용하며, 종교는 국교인 이슬람교가 67%, 불교 12%, 기독교 10%, 토착종교 10%이다.

기후는 고온다습한 열대성기후를 보이며, 석유와 천연가스가 수출의 95%를 차지하는 자원부국이나, 소득의 불균형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14년 현재 국민총생산은 167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4만 472달러이다.

이 나라의 정체는 왕정의 군주제이며, 의회는 단원제의 자치회의로 정원은 29석이다. 주요 정당은 브루나이 국민연합당, 국가발전당, 국가개발당 등이다.

약사

6, 7세기경 말레이계의 국가를 형성하였으며, 1405년 브루나이회교왕국을 창설하였다. 1888년 영국보호령이 되었고, 1959년 9월 헌법을 제정하여 1971년부터 내정문제를 독자적으로 처리하게 되었다.

1979년 1월 영국과 독립우호조약을 체결함으로써 1984년 1월 1일을 기해 독립하였다. 세습왕정제국가로서 국왕은 수상을 겸하였다.

볼키아(Hassanal Bolkiah) 국왕은 1967년 10월부터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모든 공직은 국왕이 임명하며, 정치·경제·사회 등 여러 분야에 있어서 아직 왕실의 권한이 절대적이다.

볼키아 국왕은 독립 당시에 대외적으로 자유를 표방하며, 선린우호외교를 기본으로 한다고 선언한 바가 있다. 1984년 1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에, 같은 해 9월에 유엔에 가입하였으며, 1992년에는 비동맹회의에 가입하였다. 또한, 영국 및 동남아시아국가들과 군사협력을 하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는 1984년 1월 1일브루나이의 완전독립과 동시에 양국간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시켜 2008년 현재 지속되고 있다.

1960년대 후반부터 브루나이로 우리나라 교민들이 이주하기 시작하여 양국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1984년 4월 7일부터 9일까지 브루나이의 볼키아 국왕이 우리나라를 방문하여 자원 분야 등을 비롯한 양국간의 실질관계 강화방안을 모색한 바 있다.

또한, 경제기술협력면에서 1977년부터 1985년 사이에 벼 재배 및 건설분야 훈련생 13명의 방한초청과 한국개발연구원연찬회에 3명의 초청이 있었고, 1985년 7월부터 1986년 4월 사이에는 람바이 벼농장개발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양국은 또 1992년 8월 항공 협정, 2000년 11월 투자보장 협정을 체결하였다.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대 브루나이 수출액은 2억 7000만 달러로 주종목은 자동차·산업용철강자재 등이며, 수입액은 9억 6000만 달러로 주종목은 원유·천연가스 등이다.

1984년 2월에는 우리나라의 국립무용단이 독립축하기념공연을 가진 바 있으며, 제24회 서울올림픽경기대회에는 브루나이 임원 1명이 참가하였다.

2011년 7월 현재 브루나이에는 40세대 100여 명의 교민이 거주하고 있다.

한편, 북한은 1999년 1월 7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2006년 현재 주 인도네시아 대사가 그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참고문헌

『세계각국편람』(외교통상부, 2008)
『한국의 창』(동아일보사, 2008)
『해외동포현황』(외교통상부, 2007)
『세계무역통계』(한국무역협회, 2007)
『주요수출입통계』(관세청, 2007)
『아시아정치론』(로버트 E. 워드·로이 C. 매크리디스, 구범모 역, 서울대학교출판부, 197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