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대표적인 비음은 ‘ㅁ, ㄴ, ㅇ’이다. ‘ㅁ’은 양순음이고 ‘ㄴ’은 치경음이며 ‘ㅇ’은 연구개음이다.
이들 비음에 인접한 모음도 비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의 성질을 띠게 되는데 ‘강(江)’의 경우에 모음은 [ã]과 같이 음성적으로 비음화한다. 이러한 비모음화(鼻母音化)는 특히 동남방언 및 그 영향권의 방언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국어의 비음 /ㅁ, ㄴ, ㅇ/ 가운데서 /ㅁ/은 ‘몸·모밀’ 등과 같이 어두·어중·어말 위치에 모두 나타나는데, 중부방언에서는, 특히 고모음 앞의 어두에서, ‘묵, 밉다’의 경우처럼 구강음이 섞인 비음 [bm](b 위첨자)으로 실현된다.
/ㄴ/도 어두·어중·어말에서 모두 실현되며 ‘늑대’같은 경우에 역시 구강음이 섞인 [dn](d 위첨자)으로 중부방언에서 실현된다. 어두에서는 /i/와 /j/ 앞에서 /ㄴ/이 실현되지 않음이 원칙이나, ‘늴니리·닁큼·뉴스’ 등에서 [니-, 뉴-] 등이 발음되기도 한다.
어중에서 ‘니’는 흔히 구개음화된 [ɲ]로 실현되는데, 이는 음성적인 것이다. /ㅇ/은 원칙적으로 음절말에서 실현되는데 두 모음 사이에서는 ‘망울 [mãŋũl], 상(床)이 [sãŋĩ]’처럼 인접한 두 모음을 모두 음성적으로 비음화시킨다.
비음 앞에는 순수자음(장애음)이 실현될 수 없는 구조적 특성을 지니는데, 이로 인하여 ‘밥만[밤만], 밭만[반만], 박만[방만]’이라든가 ‘입는[임는], 있는[인는], 익는[잉는]’과 같은 비음화가 실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