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당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이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이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917년 후손 병윤(秉允)·병환(秉桓)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가계도(家系圖)가 있고, 권말에 노상직(盧相稷) 및 후손 긍섭(兢燮)·우승(禹承)·병윤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99수, 서(書) 28편, 서(序) 1편, 기(記) 2편, 잡저 2편, 권3은 부록으로 유사·묘갈명·묘지명 각 1편, 만사(輓詞) 19수, 제문 11편, 상량문·봉안축문(奉安祝文)·상향문(常享文)·본부신성록(本部申省錄)·도회통문(道會通文)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안부의 편지와 시사·학문에 관하여 의견을 나눈 것이 대부분이며, 서(序)의 「독락원서(獨樂園序)」에서는 학문의 즐거움을 논하고 있다.

잡저 중의 「기요(記要)」는 학문에 필요한 금언들을 모아 자신의 견해를 첨가한 것인데, 특히 심전(心田) 경작으로 간난을 예비할 것과 검소한 생활태도를 역설하였다.

「서벽(書壁)」에서는 검신(檢身)·독서·변시비(辨是非) 등의 방법을 설명한 다음, 글씨는 해정(楷正)을 권하고, 과묵과 성행(誠行)을 권장하였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