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분휘 ()

삼례분휘
삼례분휘
가족
문헌
중국의 대표적 예서인 『주례』, 『의례』, 『예기』에서 중요한 문구를 뽑아 부문별로 편찬한 유학에 관한 책.
이칭
이칭
삼례휘찬(三禮彙纂)
문헌/고서
권책수
1장 115장
권수제
三禮彙纂
판본
필사본
표제
三禮彙纂
소장처
규장각
내용 요약

삼례분휘는 삼례휘찬이라고도 하는데, 중국의 대표적 예서인 『주례』, 『의례』, 『예기』에서 중요한 문구를 뽑아 부문별로 편찬한 유학에 관한 책이다. 『지봉유설(芝峯類說)』과 『성호사설(星湖僿說)』이 각각 천문, 시령, 재이, 지리, 제국 및 천지문, 만물문, 인사문, 경사문, 시문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삼례분휘 또한 이와 같은 형식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유학에 관한 책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정의
중국의 대표적 예서인 『주례』, 『의례』, 『예기』에서 중요한 문구를 뽑아 부문별로 편찬한 유학에 관한 책.
서지사항

『삼례분휘』는 규장각 소장 도서[奎7298]로 1책 11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사본이다. 표지서명은 ‘삼례휘찬(三禮彙纂)’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도서[古032-128]와 국회도서관 소장 도서[古 181.214 ㅅ196]가 있는데, 모두 필사본이다. 각각 표지명이 ‘(弓+三)禮分彙’와 ‘三禮分彙抄’로 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삼례분휘』는 「삼례분휘목록(三禮分彙目錄)」을 시작으로 천도부(天道部) 23조목, 지도부(地道部) 10조목, 인륜부(人倫部) 10조목, 군도부(君道部) 7조목, 치화부(治化部) 18조목, 신도부(臣道部) 14조목, 민업부(民業部) 13조목, 유도부(儒道部) 10조목, 인사부(人事部) 6조목, 생사부(生死部) 13조목, 제사부(祭祀部) 6조목, 연악부(燕樂部) 6조목, 거처부(居處部) 5조목, 재화부(財貨部) 9조목, 백용부(百用部) 10조목, 복식부(服飾部) 10조목, 기예부(技藝部) 6조목, 군려부(軍旅部) 8조목, 생물부(生物部) 8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식은 천도부의 경우, 상단에 천도부 항목 ‘天’을 적시하고, 그 아래에 『주례』, 『예기』, 『의례』를 각각 네모 칸 안에 ‘周, 禮, 記’를 집어넣어 표지로 삼고, 또 「禮運」이나 「樂記」 등의 인용문도 네모 칸 안에 ‘運’이나 ‘樂’을 집어넣어 표지로 삼고 해당 인용문을 적시하고 있다.

천도부는 천(天), 일(日), 월(月), 성신(星辰) 등의 23조목, 지도부는 지(地), 산악(山嶽), 강해(江海), 천택(川澤) 등의 10조목, 인륜부는 부모(父母), 형제(兄弟), 효제(孝悌), 처첩(妻妾) 등의 10조목, 군도부는 주8, 주9, 주7, 주6 등의 10조목, 치화부는 주2, 주3, 주4, 주5 등의 18조목이 있다. 또한 신도부는 공경(公卿), 주10, 노성(老成), 주11 등의 14조목, 민업부는 농(農), 전제(田制), 곡(穀), 채(菜) 등의 13조목, 유도부는 사제(師弟), 유교(儒敎), 주12, 심성(心性) 등의 10조목, 인사부는 형체(形體), 언어(言語), 위의(威儀), 주13 등의 6조목, 생사부는 생신(生娠), 성명(姓名), 유충(幼沖), 주14 등의 13조목을 말한다. 제사부는 종묘(宗廟), 교사(郊社), 인사(禋祀), 제물 등의 6조목, 연악부는 향빈(饗賓), 연음(燕飮), 주(酒), 음식(飮食) 등의 6조목, 거처부는 궁실(宮室), 문계(門啓), 계정(階庭), 정려(井閭) 등의 5조목, 재화부는 부고(府庫), 공납(貢納), 부세(賦稅), 금은(金銀) 등의 9조목, 백용부는 주15, 주16, 주17, 주18 등의 10조목이 해당된다. 더불어 복식부는 주19, 규홀(圭笏), 의복(衣服), 관(冠) 등의 10조목, 기예부는 사(射), 투호(投壺), 의약(醫藥), 주20 등의 6조목, 군려부는 장수(將帥), 주21, 병기(兵器), 주22 등의 8조목, 생물부는 수목(樹木), 초화(草花), 과당(果棠), 우충(羽虫) 등의 8조목을 의미한다.

의의 및 평가

『삼례분휘』는 『주례』, 『의례』, 『예기』를 지칭하는 삼례(三禮)에서 중요 문구를 뽑아서 분류별로 모았기 때문에 ‘분휘’ 혹은 ‘휘찬’이라는 제목을 달았다는 점에서 일종의 유학에 관한 책의 성격을 지닌다. 내용 기술은 분류별로 원전의 구절에 주1를 붙이는 방식으로 되어 있고, 초록된 구절은 주로 격언 같은 것을 모았는데, 교훈을 주기 위해 엮은 듯하다. 구성 형식이 『지봉유설(芝峯類說)』, 『성호사설(星湖僿說)』 등과 같은 것으로 볼 때, 그 영향을 받은 듯하다.

참고문헌

원전

『삼례분휘』(규장각, 圭9298)
『삼례분휘』(국립중앙도서관, 古032-128)
『삼례분휘초』(국회도서관, 古 181.214 ㅅ196)
주석
주1

본문에 대한 주해. 또는 이전 사람의 주해에 대한 주해. 주(註)는 경(經)을 해석한 것이고, 소(疏)는 주(註)를 해석ㆍ부연한 것이다. 우리말샘

주2

예전에, 신하가 조정에 나아가 임금을 뵙던 일. 우리말샘

주3

임금이 나라 안을 두루 살피며 돌아다니던 일. 우리말샘

주4

천자가 나라의 토지를 나누어 주고 제후를 봉하여 나라를 세우게 하던 일. 우리말샘

주5

학덕이 높고 정치를 잘하여 민심을 얻음. 우리말샘

주6

왕(王)이나 공(公) 따위의 신분이 높은 사람의 동족(同族). 우리말샘

주7

황태자나 왕세자를 달리 이르는 말. 임금 다음가는 지위에 있다는 뜻이다. 우리말샘

주8

군주의 덕. 우리말샘

주9

임금의 아내. 우리말샘

주10

직무상 맡은 임무. 우리말샘

주11

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함. 우리말샘

주12

경서(經書)와 사기(史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공손히 읍함. 우리말샘

주14

나이가 아주 많게 오래 삶. 우리말샘

주15

예전에, 돌이나 대나무ㆍ옥 따위로 만들어 신표로 삼던 물건. 주로 사신들이 가지고 다녔으며 둘로 갈라서 하나는 조정에 보관하고 하나는 본인이 가지고 다니면서 신분의 증거로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16

수레와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7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8

휘장과 장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9

곤룡포와 면류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0

비과학적인 방법으로 과거를 알아맞히거나, 앞날의 운수ㆍ길흉 따위를 미리 판단하는 일. 우리말샘

주21

전쟁이나 군대를 이르는 말. 고대 중국의 군대 편성에서 500명을 여(旅), 5려를 사(師)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주22

싸움터에서 쓰는 기와 북을 아울러 이르는 말. 군대를 지휘하고 명령하는 데 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