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분휘』는 「삼례분휘목록(三禮分彙目錄)」을 시작으로 천도부(天道部) 23조목, 지도부(地道部) 10조목, 인륜부(人倫部) 10조목, 군도부(君道部) 7조목, 치화부(治化部) 18조목, 신도부(臣道部) 14조목, 민업부(民業部) 13조목, 유도부(儒道部) 10조목, 인사부(人事部) 6조목, 생사부(生死部) 13조목, 제사부(祭祀部) 6조목, 연악부(燕樂部) 6조목, 거처부(居處部) 5조목, 재화부(財貨部) 9조목, 백용부(百用部) 10조목, 복식부(服飾部) 10조목, 기예부(技藝部) 6조목, 군려부(軍旅部) 8조목, 생물부(生物部) 8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식은 천도부의 경우, 상단에 천도부 항목 ‘天’을 적시하고, 그 아래에 『주례』, 『예기』, 『의례』를 각각 네모 칸 안에 ‘周, 禮, 記’를 집어넣어 표지로 삼고, 또 「禮運」이나 「樂記」 등의 인용문도 네모 칸 안에 ‘運’이나 ‘樂’을 집어넣어 표지로 삼고 해당 인용문을 적시하고 있다.
천도부는 천(天), 일(日), 월(月), 성신(星辰) 등의 23조목, 지도부는 지(地), 산악(山嶽), 강해(江海), 천택(川澤) 등의 10조목, 인륜부는 부모(父母), 형제(兄弟), 효제(孝悌), 처첩(妻妾) 등의 10조목, 군도부는 군덕(君德), 후비(后妃), 저이(儲貳), 공족(公族) 등의 10조목, 치화부는 조근(朝覲), 순수(巡狩), 봉건(封建), 득민(得民) 등의 18조목이 있다. 또한 신도부는 공경(公卿), 직임(職任), 노성(老成), 간쟁(諫諍) 등의 14조목, 민업부는 농(農), 전제(田制), 곡(穀), 채(菜) 등의 13조목, 유도부는 사제(師弟), 유교(儒敎), 경사(經史), 심성(心性) 등의 10조목, 인사부는 형체(形體), 언어(言語), 위의(威儀), 배읍(拜揖) 등의 6조목, 생사부는 생신(生娠), 성명(姓名), 유충(幼沖), 수고(壽考) 등의 13조목을 말한다. 제사부는 종묘(宗廟), 교사(郊社), 인사(禋祀), 제물 등의 6조목, 연악부는 향빈(饗賓), 연음(燕飮), 주(酒), 음식(飮食) 등의 6조목, 거처부는 궁실(宮室), 문계(門啓), 계정(階庭), 정려(井閭) 등의 5조목, 재화부는 부고(府庫), 공납(貢納), 부세(賦稅), 금은(金銀) 등의 9조목, 백용부는 부절(符節), 거마(車馬), 기명(器皿), 유장(帷帳) 등의 10조목이 해당된다. 더불어 복식부는 곤면(袞冕), 규홀(圭笏), 의복(衣服), 관(冠) 등의 10조목, 기예부는 사(射), 투호(投壺), 의약(醫藥), 복서(卜筮) 등의 6조목, 군려부는 장수(將帥), 사려(師旅), 병기(兵器), 기고(旗鼓) 등의 8조목, 생물부는 수목(樹木), 초화(草花), 과당(果棠), 우충(羽虫) 등의 8조목을 의미한다.
『삼례분휘』는 『주례』, 『의례』, 『예기』를 지칭하는 삼례(三禮)에서 중요 문구를 뽑아서 분류별로 모았기 때문에 ‘분휘’ 혹은 ‘휘찬’이라는 제목을 달았다는 점에서 일종의 유학에 관한 책의 성격을 지닌다. 내용 기술은 분류별로 원전의 구절에 주소(注疏)를 붙이는 방식으로 되어 있고, 초록된 구절은 주로 격언 같은 것을 모았는데, 교훈을 주기 위해 엮은 듯하다. 구성 형식이 『지봉유설(芝峯類說)』, 『성호사설(星湖僿說)』 등과 같은 것으로 볼 때, 그 영향을 받은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