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8.80m. 198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7m, 너비 5m의 자연석의 거대한 바위벽에 새겨진 불상으로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입체적으로 깊게 조각한 반면, 몸체로 내려올수록 얕은 선각(線刻)으로 조각한 특이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법은 고려시대의 마애불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기법이다. 둥글고 넓적한 얼굴에 반쯤 뜬 눈이 아래를 내려다 보고 있는데, 눈 · 코 · 입의 표현이 뚜렷하고 균형이 잡혀 있다. 귀는 길어 어깨에 까지 닿아 있고 목은 짧다.
불신(佛身)은 두 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의 법의(法衣)와 가슴과 무릎에 새겨진 손만으로 간략하게 처리되었는데, 가슴 밑으로 둥근 U자형으로 깊게 파인 내의(內衣)가 보이며, 그 밑으로 군의(裙衣)를 묶은 띠매듭이 수평으로 새겨졌다.
오른손은 위로 들어 가슴 부분에 놓고 왼손은 다리 위에 놓아 선정인(禪定印)의 자세로 둥글게 모았다.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다리에는 나선형의 옷주름이 일률적으로 새겨져 있다. 몸의 윤곽이나 부피감은 거의 표현되지 않았고, 수법도 투박하고 형식적이어서 원형(圓形)의 얼굴조각과는 대조를 이룬다.
발 밑에는 음각된 단판(單瓣)의 올림연꽃[仰蓮]으로 대좌(臺座)를 형성하였다. 거대한 자연석에 조각되어 선각임에도 당당한 불신에 위엄이 느껴진다. 이러한 불상 형식은 고려시대의 거불상(巨佛像) 표현으로 이어져 토착적인 조각 전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