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아미타여래상 높이 132.8㎝, 관음보살상 높이 178.8㎝, 지장보살상 높이 163㎝.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상과 지장보살상이 연화좌에 서 있는 아미타삼존불이다. 나무로 불상의 원형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흙과 삼베를 입혀 형태를 만들었으며 마지막으로 개금을 하였다. 삼존불이 여래와 보살의 도상적인 차이는 있지만 신체 비례와 얼굴, 옷주름 표현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세 구 모두 1m가 넘는 등신대의 크기에 침잠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영락과 장식이 절제된 간결한 특징을 보인다. 두 협시보살상은 모두 합장인(合掌印)을 하였으며 단순한 형태미가 특징적이다.
본존불인 아미타여래좌상은 유난히 무릎이 낮고 상반신이 길어 장대한 신체 비례를 보이는데 결가부좌 자세에서 오른쪽 다리를 풀어 앞으로 늘어뜨렸다. 편삼(偏衫) 위에 대의(大衣)를 두른 변형통견식에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손은 복부 가까이에 둔 손 모습으로 손가락을 결하지 않은 점이 특징이다. 머리는 경계가 거의 없는 낮은 육계에 나발이 큼직한데 마치 둥근 모자를 쓴 듯 부푼 모습이다. 머리에는 중간계주와 정상계주가 있다. 볼 살이 오른 방형의 얼굴은 좁은 이마와 미간, 뾰족한 콧날, 두툼한 입술로 표현되었으며 근엄하지만 약간 침울한 표정이다. 옷주름은 간략하지만 오른쪽 어깨를 덮은 대의나 가슴 위의 승각기 등 완만한 곡선미로 부드러움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얼굴 표정과 더불어 보살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좌협시의 관음보살입상은 화염보주가 장식된 높은 보관을 쓰고 머리에는 크게 말아올린 상투머리를 하였으며 양어깨를 덮은 통견식 대의에 수평의 승각기로 아미타여래와 차별화하였다. 승각기는 합장을 한 양손에 가려져 있지만 가슴 밑으로 쳐져 있다. 보살상에 흔히 나타나는 어깨에 늘어뜨린 머리카락[寶髮]은 생략되었으며 장식도 목걸이와 귀걸이만 간략하게 표현되었다. 지장보살상은 민머리를 한 점만 제외하면 수인, 착의법, 장식 등에서 관음보살상과 거의 유사하다.
소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아미타 · 관음 · 지장보살로 구성된 점, 아미타불상의 상체가 긴 장대한 신체와 낮은 무릎의 비례감, 보살상들의 장식이 배제된 간결미, 보발이 생략된 관음보살상의 머리 표현 등은 임진왜란 이전인 16세기의 불상 요소들이다. 즉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은 조선 전기인 16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목심 위에 흙으로 마무리한 제작 기법, 개성적인 얼굴 표현, 합장인의 손 모습 그리고 독창적인 조형성이 특징이다. 소조불 사례가 적은 조선 전기의 작품으로서 조선 후기 소조불상의 기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