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상
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아미타삼존불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錦山 身安寺 阿彌陀三尊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소조/불상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7년 10월 30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52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아미타삼존불좌상.
개설

2007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아미타여래상 높이 132.8㎝, 관음보살상 높이 178.8㎝, 지장보살상 높이 163㎝.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상과 지장보살상이 연화좌에 서 있는 아미타삼존불이다. 나무로 불상의 원형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흙과 삼베를 입혀 형태를 만들었으며 마지막으로 개금을 하였다. 삼존불이 여래와 보살의 도상적인 차이는 있지만 신체 비례와 얼굴, 옷주름 표현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세 구 모두 1m가 넘는 등신대의 크기에 침잠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영락과 장식이 절제된 간결한 특징을 보인다. 두 협시보살상은 모두 합장인(合掌印)을 하였으며 단순한 형태미가 특징적이다.

내용

본존불인 아미타여래좌상은 유난히 무릎이 낮고 상반신이 길어 장대한 신체 비례를 보이는데 결가부좌 자세에서 오른쪽 다리를 풀어 앞으로 늘어뜨렸다. 편삼(偏衫) 위에 대의(大衣)를 두른 변형통견식에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손은 복부 가까이에 둔 손 모습으로 손가락을 결하지 않은 점이 특징이다. 머리는 경계가 거의 없는 낮은 육계에 나발이 큼직한데 마치 둥근 모자를 쓴 듯 부푼 모습이다. 머리에는 중간계주와 정상계주가 있다. 볼 살이 오른 방형의 얼굴은 좁은 이마와 미간, 뾰족한 콧날, 두툼한 입술로 표현되었으며 근엄하지만 약간 침울한 표정이다. 옷주름은 간략하지만 오른쪽 어깨를 덮은 대의나 가슴 위의 승각기 등 완만한 곡선미로 부드러움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얼굴 표정과 더불어 보살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좌협시의 관음보살입상은 화염보주가 장식된 높은 보관을 쓰고 머리에는 크게 말아올린 상투머리를 하였으며 양어깨를 덮은 통견식 대의에 수평의 승각기로 아미타여래와 차별화하였다. 승각기는 합장을 한 양손에 가려져 있지만 가슴 밑으로 쳐져 있다. 보살상에 흔히 나타나는 어깨에 늘어뜨린 머리카락[寶髮]은 생략되었으며 장식도 목걸이와 귀걸이만 간략하게 표현되었다. 지장보살상은 민머리를 한 점만 제외하면 수인, 착의법, 장식 등에서 관음보살상과 거의 유사하다.

의의와 평가

소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아미타 · 관음 · 지장보살로 구성된 점, 아미타불상의 상체가 긴 장대한 신체와 낮은 무릎의 비례감, 보살상들의 장식이 배제된 간결미, 보발이 생략된 관음보살상의 머리 표현 등은 임진왜란 이전인 16세기의 불상 요소들이다. 즉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은 조선 전기인 16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목심 위에 흙으로 마무리한 제작 기법, 개성적인 얼굴 표현, 합장인의 손 모습 그리고 독창적인 조형성이 특징이다. 소조불 사례가 적은 조선 전기의 작품으로서 조선 후기 소조불상의 기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불교미술사』(김리나 정은우 외, 미진사, 2011)
『한국의 사찰문화재』충청남도·대전광역시(문화재청·(재)대한불교조계종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2004)
「조선 전기 16세기의 불교조각 연구」(어준일, 『불교미술사학』16, 불교미술사학회, 2013)
「16세기 보살상 연구」(김광희, 『문물연구』14,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8)
「조선전반기 아미타불상의 연구」(이분희, 『강좌미술사』27, 한국미술사연구소, 2006)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정은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