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SDI())

경제
단체
1970년에 설립된 전자 · 전기 · 기계제품 제조업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70년에 설립된 전자 · 전기 · 기계제품 제조업체.
연원 및 변천

삼성-NEC주식회사로 출발하여 설립된 그 해 12월부터 흑백브라운관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1974년 3월 삼성전관공업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75년 1월부터 반도체생산을 개시하였으며, 1978년 2월 컬러브라운관의 신규사업인가를 획득하였다. 1979년 1월 기업을 공개하였고, 1980년 8월 국내최초로 한글·한자컴퓨터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첨단산업의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1983년 종합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84년 2월 삼성전관㈜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86년 4월 Full Page 디스플레이 브라운관 개발하였다. 1986년 5월 가천 칼라브라운관을 준공하고, 7월 칼라브라운관 1000만 본 생산을 돌파하였다. 1987년 10월 칼라고체 촬영소자를 개발하고, 12월 초전도체 합성에 성공하였다. 1988년 10월 프리즈마표시관을, 1989년 11월에는 휴대용 워드프로세서 삼성워드를 개발하였다.

1990년 11월 말레이시아 현지법인 설립 및 1억 달러 규모 CPT 공장을 건설하였고, 1992년 2월 IR52 장영실상을 수상(대형 OA형 STN LCD)하였다. 1992년 9월 구동독 최대의 전자회사인 WF사를 인수하였고, 12월 매출 1조 원을 달성하였다. 1995년 11월 장수명 브라운관을 개발하고, 12월 중국 심천 MAC사를 인수하였다. 1996년 3월 초순간 브라운관을 개발하였으며, 8월 중국 천진에 합작투자(삼성전관 80%, 천진시 전자의표총공사 20%)하였다.

1999년 11월 삼성SDI㈜로 변경하였고, 삼성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로 지정되었다. 2000년 6월 차세대전지 공장을 준공하여 2차전지 사업에 진출하였다. 2001년 4월 국내 최초로 플라스틱 터치패널을 생산하였다. 2001년 10월 멀티디스플레이 브라운관(MDT)을 개발하였고, 12월에는 초박형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하였다.

2003년 2월 제12회 경제정의기업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 9월 AMOLED 및 모바일 디스플레이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를 설립하였다. 2차전지 분야를 주력으로 삼아 소형 IT용 2차전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다. 2009년 BCM(사업 연속성 관리) 국제 인증을 획득하였고, 2010년 11월 전기자동차용 전지공장을 준공하였다.

2010년 2월 삼성SDI 베트남 법인, 2011년 9월 삼성SDI 유럽법인, 2012년 2월 삼성SDI 일본법인, 2012년 8월 삼성SDI 중국판매법인을 각기 설립했다. 2014년 7월 1일 삼성SDI가 제일모직을 합병하고 법인을 삼성SDI로 정하였다. 제일모직이라는 사명은 삼성에버랜드가 이관받아 같은 해 7월 4일부로 삼성에버랜드가 제일모직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계승하게 되었다. 삼성SDI는 구 제일모직의 흡수, 합병을 통해 케미칼사업과 전자재료사업에 진출하였다.

현황

주요 사업은 기존의 에너지 솔루션 사업부문[소형 2차전지 사업,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 자동차전지 사업]과 구 제일모직에서 합병한 소재 사업부문[TV, 모니터, 냉장고, 휴대폰, 노트북 등 내·외장재 소재, 자동차 등 케미칼 사업]이다. 주요 제품과 구성비율은 셀, 팩, 폴리머 등 52%, ABS, PC, 기능성수지 등 25%, 반도체 등 23% 등이다.

관계회사로는 삼성전자㈜·삼성생명㈜·중앙개발㈜·삼성화재㈜·삼성종합화학㈜ 등이 있다.

2015년 현재 총자산은 14조 6567억 원, 자본금은 3567억 원, 연간 매출액은 6조 6801억 원이다.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있다.

국내 사업장으로 기흥1(본사), 기흥2, 천안, 울산 사업장 등이 있다.

참고문헌

『회사연감』(매일경제신문사,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