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육수 ()

목차
도교
개념
점의 응험과 길흉의 판단에 참고하기 위하여 12지지를 초 · 중 · 말로 세분하여 배치한 36종의 짐승을 가리키는 종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점의 응험과 길흉의 판단에 참고하기 위하여 12지지를 초 · 중 · 말로 세분하여 배치한 36종의 짐승을 가리키는 종교용어.
내용

십이지(十二支)는 원래 짐승의 이름을 따서 12방위에 배속시킨 것인데, 그것을 음과 양으로 구분한 뒤 다시 오행인 수·화·금·목·토로 나누어 그 상생(相生)·상극(相克)·상합(相合)·상형(相刑)·상파(相破) 등의 법칙에 따라 길흉을 판단한다.

즉, 자(子)·인(寅)·진(辰)·오(午)·신(申)·술(戌)의 6방은 양이 되고, 축(丑)·묘(卯)·사(巳)·미(未)·유(酉)·해(亥)의 6방은 음이 된다.

또한, 해와 자는 수(水)가 되고, 인과 묘는 목(木)이 되며, 사와 오는 화(火), 신과 유는 금(金), 그리고 4방의 간방을 차지하고 있는 진과 술, 축과 미는 토(土)가 된다.

12방위에 배속된 짐승은 나름대로의 이유가 붙어 있다. 예컨대, 새날의 처음이 자시(子時)로 되어 쥐가 배치된 것은 첫 시간의 반은 지나간 날을 상징하고 반은 새날을 상징하므로 음과 양을 겸유한 짐승이 선정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소는 발굽이 갈라져 있기 때문에 순음(純陰)으로 쥐의 다음 자리에, 말은 발굽이 통발로 순양(純陽)을 나타내기 때문에 한낮에 배치되었다.

12방에 배치된 짐승의 명칭은 자는 쥐, 축은 소, 인은 호랑이, 묘는 토끼, 진은 용, 사는 뱀, 오는 말, 미는 양, 신은 원숭이, 유는 닭, 술은 개, 해는 돼지로 되어 있고, 각각 다시 세분되어 36종의 짐승이 배치되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는 초에 고양이[猫], 중에 쥐[鼠], 말에 박쥐[伏翼], 축은 초에 소[牛], 중에 게[蟹], 말에 자라[鼈], 인은 초에 성성이[猩], 중에 표범[豹], 말에 호랑이[虎], 묘는 초에 여우[狐], 중에 토끼[兎], 말에 담비[貂], 진은 초에 용(龍), 중에 이무기[蛟], 말에 물고기[魚], 사는 초에 매미[蟬], 중에 잉어[鯉魚], 말에 뱀[蛇], 오는 초에 사슴[鹿], 중에 말[馬], 말에 노루[麞], 미는 초에 양(羊), 중에 기러기[雁], 말에 매[鷹], 신은 초에 은빛원숭이[狖], 중에 원숭이[猿], 말에 잔나비[猴], 유는 초에 새[鳥], 중에 닭[鷄], 말에 꿩[雉], 술은 초에 개[狗], 중에 이리[狼], 말에 승냥이[豺], 해는 초에 돼지[貐], 중에 멧돼지[豕], 말에 도야지[猪] 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36종의 짐승은 12지의 짐승처럼 용도가 많지 않으며, 특수한 여건하에서만 활용되는 까닭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문헌상으로 처음 나타난 것은 『열자(列子)』에서부터이며, 불경인 『지관(止觀)』에도 언급되어 있다.

덮어 가린 물건을 알아맞히는 석복(射覆)에 간혹 사용되기도 하며, 산중의 수도승들이 그날 그날 산에서 만나는 짐승을 보고 관조하는 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참고문헌

『열자(列子)』
『지관(止觀)』
『육임전서(六壬全書)』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