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진지도 ()

삼천포전지도
삼천포전지도
인문지리
문헌
1872년 경상감영에서 삼천진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 고지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72년 경상감영에서 삼천진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 고지도.
서지적 사항

축 형태의 채색필사본으로 세로 121㎝, 가로 72.2㎝이다.

내용

삼천진은 현재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영운리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당포진과 함께 통영 남쪽에 위치했던 군사주둔지이다. 「삼천진지도」 왼쪽 위에 대마도(對馬島)가 있고 그 아래에 한산도(閑山島)가 그려져 있어 지도의 위쪽을 남쪽, 왼쪽을 동쪽으로 하였다. 주위에는 한산도, 욕지도, 연화도 등이 간략하게 그려져 있다.

진의 건물 묘사와 주변의 지형 표현 등을 회화적으로 나타낸 지도로서 군사적 목적에서 대형 지도로 제작했다. 이 지도는 1872년 전국 군현지도집 편찬사업 때 군사시설에 대한 지도를 별도로 제작하면서 작성된 것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1872년 군현지도』 중 경상도지도첩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통영지도」와 함께 축 형태로 따로 분리되어있지만 지도의 표현 양식과 내용 등을 볼 때 1872년 군현지도 제작사업 때 만들어진 것이다. 지도의 화풍은 인접 지역인 당포진, 고성부의 남촌진, 남해현의 평산진, 미조항진의 지도와 유사하여 당시 지역에서 활동하던 화사에 의해 일괄적으로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진(鎭) 입구에는 문루(門樓)가 그려져 있고 그 뒤편으로 미륵산 아래 객사(客舍), 장교청(將校廳), 아사(衙舍), 사부청(射夫廳), 화약고(火藥庫), 화포청(火砲廳), 포수청(砲手廳), 군기고(軍器庫), 사령방(使令房), 이청(吏廳), 육물고(六物庫), 창(倉) 등 여러 건물들이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문루 아래로는 선박과 선소(船所)가 그려져 있다. 밀집되어 있는 촌락은 지붕만 그려 표현하고 경지의 모습은 땅이 갈라진 것처럼 표현한 점이 특이하다.

지도 위쪽 여백에는 삼천진의 기본 정보가 적혀 있다. 진의 둘레가 40리, 북쪽으로 통영과 20리, 서쪽으로 당포진과 10리, 동쪽으로 한산도와 수로(水路)로 30리, 남쪽으로 오소리도(吾所里島)는 수로로 40리, 연화도는 수로로 120리, 장졸(將卒)은 148명, 군량미는 57섬[石] 14말[斗] 등으로 기록하고 있어서 진의 위치와 규모를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삼천진이 위치했던 지형 조건과 군영 건물의 배치를 상세하게 전달하는 시각 자료로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1)
『조선후기 지방지도: 경상도편』(서울대학교 규장각, 민족문화, 2005)
「1872년 군현지도의 제작과 회화적 특징: 전라도지도를 중심으로」(김성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조선후기 통제영 화원 연구」(이현주, 『석당논총』39, 200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e-kyujanggak.snu.ac.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