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현 ()

목차
불교
개념
선종에서 임제가 주창한 체중현 · 구중현 · 현중현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목차
정의
선종에서 임제가 주창한 체중현 · 구중현 · 현중현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내용

임제종의 개조(開祖)인 임제(臨濟)에 의해 주창되었다. 임제가 “선의 종지(宗旨)를 제창함에 있어서 일구(一句) 가운데 모름지기 삼현문(三玄門)을 갖추고, 일현(一玄) 가운데 모름지기 삼요(三要)를 갖춘다.”고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삼현의 첫째는 체중현(體中玄)으로서 삼세일념(三世一念) 등이고, 둘째는 구중현(句中玄)으로서 모든 생각과 이론을 초월한 화두(話頭)인 경절어구(徑截語句) 등이며, 셋째는 현중현(玄中玄)으로 선상(禪床)에 올라가서 한참 동안 말없이 앉아 있거나 상대방을 주장자로 치거나 할(喝)을 하는 것 등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삼현을 체중현·용중현(用中玄)·의중현(意中玄)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임제의 연구가 아니라 고탑주(主塔主)가 주창한 것이다.

후대에 내려오면서 이 삼현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설이 유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이 삼현과 삼구에 대하여 깊이 있게 논술한 고승은 고려의 지눌(知訥)과 조선의 휴정(休靜) 등을 들 수 있다.

지눌은 ≪간화결의론 看話決疑論≫에서, “선문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근기(根機)가 들어가는 문은 약간씩 다르다. 때로는 유심(唯心)과 유식(唯識)의 도리에 의하여 체중현에 들어간다. 이것이 초현문(初玄門)으로서 원교사사무애(圓敎事事無碍)의 교의가 있다.

그러나 이 사람은 불법지견(不法知見)이 마음에 있어서 해탈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다. 혹 이들 가운데 구중현에 들어가서 초현문의 불법지견을 깨뜨리니, 이것은 경절문의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마삼근(麻三斤)’ 등의 화두가 그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3문을 세운 것은 옛 선사의 뜻이며, 본분사(本分事)의 화두로써 병을 깨뜨릴 수 있으므로 제2현에 두었다. 그러나 해탈지견(解脫知見)의 언구가 남아 있기 때문에 생사계에 자재할 수 없게 되므로 제3 현중현을 세운 것이다.

현중현의 묵묵히 앉아 있거나 할을 하고 몽둥이로 때리는 등의 것으로 앞의 지견을 깨뜨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삼현을 나타내어 보인 것은 본래 병을 제거하기 위함이다.”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휴정은 ≪선가귀감 禪家龜鑑≫의 임제종 종지를 밝히는 부분에서, “일구 중에 삼현을 갖추고 일현 중에 삼요를 갖추었다고 하였으니, 제1구는 곧 흔적이 없는 인장이요, 삼현과 삼요는 흔적이 있는 인장이다.

권(權, 방편)과 실(實, 진실)은 현(玄)이요, 조용(照用, 體用)은 요(要)이다.”라고 하였다. 그 뒤 조선 중기의 고승인 지안(志安)은 ≪선문오종강요 禪門五宗綱要≫를 지어 임제의 법문을 옮겨 싣고 풍법사(風法師)·월선객(月禪客)의 문답을 인용하여 해설하였다.

또, 조선 후기의 고승 백파(白坡)는 ≪선문수경 禪門手鏡≫을 저술하면서 <임제삼구도설 臨濟三句圖說>을 실었는데, 이는 매우 조직적이면서 자세한 내용을 싣고 있다. 특히, 그는 제1구를 조사선(祖師禪)이라 정의하고 석가모니의 삼처전심(三處傳心)을 이에 배속시켰으며, 제2구를 여래선(如來禪)이라 정의하고 삼현을 여기에 배속시켰다.

참고문헌

『임제록(臨濟錄)』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지눌)
『선가귀감(禪家龜鑑)』(휴정)
『선문오종강요(禪門五宗綱要)』(지안)
『선문수경(禪門手鏡)』(백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