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국숭록대부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정1품 특정 문신의 품계.
목차
정의
조선시대 정1품 특정 문신의 품계.
내용

국구(國舅 : 왕의 장인)·종친(宗親 : 임금의 친족으로서 촌수가 가까운 자)·의빈(儀賓 : 임금이나 왕세자의 사위)들에게만 주던 특수한 품계이다.『대전통편』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19세기에 와서 비로소 제정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까지는 종친과 의빈의 관계가 일반 문무관계와 달랐으나, 조선 후기에는 종친·의빈들에게도 일반관원들과 같은 문산계를 부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1품계에 한해서만 특별히 이 관계를 쓰게 하였다. 정1품의 문산계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와 보국숭록대부의 상하계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친·의빈계는 상하의 구분 없이 상보국숭록대부만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조선 초기의 종친계인 현록대부(顯錄大夫)·수록대부(綏祿大夫), 그리고 의빈계인 흥록대부(興祿大夫)·성록대부(成祿大夫) 등을 모두 합친 관계였다. 이 것은 조선 초기의 다양한 관계체제가 조선 후기에 점차로 일원화되어간 양상을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집필자
이영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