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저가 ()

목차
관련 정보
시용향악보 / 상저가
시용향악보 / 상저가
국악
작품
고려 속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속요.
내용

조선 초기의 악보인 『시용향악보』에 가사와 악보가 전한다. 이 노래는 사설의 내용으로 보아 방아타령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사설의 뜻은 “들커덩 소리나는 방아지만, 하찮은 밥이라도 지을 수 있음이 다행이로다. 시아버지 시어머니께 먼저 밥상을 차려드리고 남는 것이 있거든 내가 먹으리다.”라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시용향악보』에 전하는 사설은 다음과 같다.

듥긔동 방해나

디히 히얘

게우즌 바비나

지ᅀᅥ 히얘

아바님 어머님○

받ᄌᆞᆸ고 히야해

남거시든 내 머고리

히야 해 히야해

이 사설은 민요의 선소리와 뒷소리를 연상시켜 주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사설은 평조의 악조로서 16정간보 16행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한편,『시용향악보』의 「상저가」는 1976년김기수(金基洙)에 의해 편곡, 재현되었는데, 김기수는 『시용향악보』등에 전하는 「상저가」를 고악보의 내용에 근거하고, 나름대로의 재해석을 통하여 관현악 반주를 수반하는 중창형식으로 재구해 내었던 것이다. 이 음악이 『한국음악』 제7집에 전한다.

참고문헌

『한국음악』7(국립국악원, 1977)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한국음악학자료총서』22, 국립국악원, 198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