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서 발 설화 (새끼 서 발 )

구비문학
작품
게으르다고 새끼 서 발만 가지고 쫓겨난 아들이 연속되는 물건 교환으로 마침내 성공한다는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게으르다고 새끼 서 발만 가지고 쫓겨난 아들이 연속되는 물건 교환으로 마침내 성공한다는 설화.
내용

누적적(累積的) 형식담(形式譚)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게으른 아들이 동아줄 모양의 새끼 서 발만을 꼬아 아버지에 의하여 쫓겨난다. 그 아들은 여기저기 다니면서, 새끼 서 발과 깨진 독을 바꾸고, 깨진 독과 안 깨진 독을 바꾸고, 독과 죽은 말을 바꾸고, 죽은 말과 산 말을 바꾸고, 산 말과 죽은 색시를 바꾸고, 죽은 색시와 산 색시를 바꾼다. 그리고 그 색시와 혼인하여 부자가 된다.

현황

이 설화의 유화(類話)가 서기전 3∼4세기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도의 『자타카(Jātaka)』에 나타나고 있어서, 이 설화가 상당히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포 지역도 전 세계에 걸쳐 있다.

필리핀 설화는 원숭이가 주체로 등장하여 동물담 형식을 띠는데, 점점 이득을 보는 교환화소(交換話素)에 덧붙여 점점 손해를 보는 교환화소도 등장하여 특이하다. 일본의 「지푸라기에서 얻은 행운」은 우리 것과 상당히 비슷하나, 처음의 발단이 부처님에게 기원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변이에 따라 교환되는 물건이 달라지며, 부자가 되는 계기를 게으름뱅이가 처녀를 만나기까지의 경로를 묻는 내용의 수수께끼로 내기를 걸어 이겼기 때문이라고 흥미롭게 설정한 경우도 있다.

점점 이득을 보는 교환으로 성공한다는 내용은 「좁쌀 한 알로 정승의 사위」라는 설화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경우에는 주인공은 게으름뱅이가 아닌 과거를 보러 가는 젊은이라는 점에서 다르나, 교환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는 새끼나 좁쌀은 모두 대단하지 않으면서 작은 것이라는 점은 한결같다.

의의와 평가

이 설화의 형식은 여러 사건이 인과관계로 지속되고 있어서, 중간의 어느 한 단계가 빠져 없어지면 이야기의 진행이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흥미로운 형식 속에 부귀영화에 대한 동경심과 같은 가장 소박한 원초적인 사고를 담아 놓은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전북민담』(최내옥, 형설출판사, 1982)
『한일민담의 비교연구』(성기설, 일주각, 1979)
『한국민담선』(한상수, 정음사, 1974)
『구비문학개설』(장덕순 외, 일주각,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