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야승 ()

대동야승
대동야승
구비문학
문헌
조선시대 야사 · 일화 · 소화 · 만록 · 수필 등을 모아 엮은 종합서. 야사집.
내용 요약

대동야승은 조선시대 야사·일화·소화·만록·수필 등을 모아 엮은 종합서이다. 이는 총서명으로 개인 저서가 아니라 여러 저자들에 의해 편술된 것이다. 숙종 말에서 영·정조 사이에 편찬되었다. 종래 72권 72책이던 것이 영인, 출판을 거쳐 1971년에 번역본 17책으로 간행되었다. 구성 체재는 성현의 『용재총화』를 시작으로 인조 때 김시양의 『부계기문』으로 끝맺고 있다. 대략 250년에 걸쳐 유가의 59종의 작품들을 저술 시대순으로 선별·배열하였다. 이 총서는 당쟁과 관계 깊은 사화·옥사 등을 기록하고 있어 역사 연구에 도움을 준다.

정의
조선시대 야사 · 일화 · 소화 · 만록 · 수필 등을 모아 엮은 종합서. 야사집.
개설

조선 초부터 인조 때까지의 작품들을 수록한 것이다. 『대동야승』은 총서명(叢書名)으로, 한 개인이 저술한 것이 아니라 여러 저자들에 의하여 편술된 것이 특징이다.

편찬/발간 경위

편목 중 『기축록 속』황혁(黃赫)『기축록』을 추가 보충한 것으로서 그 내용이 효종숙종 때의 사실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 『대동야승』의 편찬 시기는 대체로 숙종말에서 영정조 사이일 것으로 추측된다.

종래에 사본 72권 72책으로 전해오던 것을 1909에서 1911년 사이에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13책으로 출판하여 널리 퍼졌고, 1968년 이것을 다시 전 4책으로 영인, 출판하였으며, 1971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정부 지원에 의한 고전국역총서계획의 일환으로, 원문이 포함된 번역본 17책을 간행한 바 있다.

서지적 사항

72권 72책. 필사본. 편찬자나 편찬연대는 미상이다. 이 책에 수록된 책이름과 권수 · 편저자를 총괄하면 [표] 와 같아, 모두 59종으로 한 질을 이루고 있다.

[표] 『대동야승』에 수록된 책명과 권수 및 편저자

책이름 권수 편저자
용재총화(慵齋叢話) 10 성현(成俔)
필원잡기(筆苑雜記) 2 서거정(徐居正)
추강냉화(秋江冷話) 1 남효온(南孝溫)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 1 남효온(南孝溫)
소문쇄록(謏聞瑣錄) 1 조신(曺伸)
병진정사록(丙辰丁巳錄) 1 임보신(任輔臣)
패관잡기(稗官雜記) 4 어숙권(魚叔權)
오산설림초고(五山說林草藁) 1 차천로(車天輅)
해동악부(海東樂府) 1 심광세(沈光世)
창파극담(靑坡劇談) 1 이육(李陸)
음애일기(陰崖日記) 1 이비(李秕)
해동야언(海東野言) 3 이등(李燈)
을묘록보유(乙卯錄補遺) 2 안길(安桔)
을묘록속집(乙卯錄續集) 1 미상
을묘록별집(乙卯錄別集) 1 미상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 1 이중열자(李中悅子)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1 김안로(金安老)
견한잡록(遣閑雜錄) 1 심수경(沈守慶)
석담일기(石潭日記) 2 이이(李珥)
을축록(乙丑錄) 2 황혁(黃赫)
을축록 속(乙丑錄續) 1 미상
해동잡록(海東雜錄) 6 미상
계갑일록(癸甲日錄) 1 우성전(禹性傳)
계미기사(癸未記事) 1 미상
시정비(時政非) 1 정철(鄭澈)
상촌잡록(象村雜錄) 1 신흠(申欽)
난중잡록(亂中雜錄) 4 조경남(趙慶男)
속잡록(續雜錄) 5 조경남(趙慶男)
역대요람(歷代要覽) 1 미상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6 신령(申靈)
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 4 미상
응천일록(凝川日錄) 7 미상
광해초상록(光海初喪錄) 1 미상
장빈거사호찬(長貧居士胡撰) 1 윤기헌(尹耆獻)
기재잡기(寄齋雜記) 3 박동량(朴東亮)
기재사초(寄齋史草) 2 박동량(朴東亮)
동각잡기(東閣雜記) 2 이정형(李廷馨)
기옹만필(畸翁漫筆) 1 정홍명(鄭弘溟)
운암잡록(雲巖雜錄) 1 류성룡(柳成龍)
문소만록(聞韶漫錄) 1 윤국형(尹國馨)
갑진만록(甲辰漫錄) 1 윤국형(尹國馨)
송와잡설(松窩雜說) 1 이교(李攪)
송계만록(松溪漫錄) 2 최응인(崔應仁)
월정만필(月汀漫筆) 1 윤근수(尹根壽)
오음잡설(梧陰雜說) 1 윤두수(尹斗壽)
청강마어(淸江磨語) 1 이제신(李濟臣)
정무록(丁戊錄) 1 황유첨(黃有詹)
일사일기(逸史日記) 1 미상
청백일기(靑白日記) 1 청백당(靑白堂)
연평일기(延平日記) 1 신익성(申翊聖)
계해정사록(癸亥靖社錄) 1 미상
묵재일기(默齋日記) 3 안방준(安邦俊)
혼정편록(混定編錄) 9 윤순거(尹舜擧)
류천차기(柳川箚記) 1 한준겸(韓俊謙)
죽창한화(竹窓閑話) 1 이덕형(李德泂)
송도기이(松都記異) 1 이덕형(李德泂)
자해필담(紫海筆談) 1 김시양(金時讓)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 1 김시양(金時讓)
부계기문(涪溪記聞) 1 김시양(金時讓)
내용

구성체재는 조선 성종 때 학자인 성현(成俔)『용재총화』로 시작하여 인조 때의 김시양(金時讓)의 『부계기문』으로 끝맺고 있는데, 이는 대략 250년간에 걸쳐 배출된 유가(儒家)의 작품을 저술시대순으로 선별하여 배열한 야사의 일종이다.

각 편을 살피면 『용재총화』 · 『해동야언』과 같이 상당한 분량의 전문(全文)이 완권 수록된 것도 있으나, 『추강냉화』 · 『소문쇄록』 · 『해동악부』와 같이 발췌, 초록한 것도 있고, 『패관잡기』와 같이 후편의 상당량을 생략해 버린 것도 있다.

의의와 평가

수록된 내용은 대체로 야사 · 만록 · 일화 · 소화 · 수필 등을 비롯하여 그 밖에 폭넓은 범주를 다루고 있는데, 특히 당쟁과 관계 깊은 사화(士禍) · 옥사(獄事)에 대한 기록이나 임진 · 병자의 난에 관한 많은 기록물은 역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

참고문헌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장덕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