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서귀유고 / 창의시 발문
서귀유고 / 창의시 발문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기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기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5책. 전사자본(全史字本). 1876년(고종 13) 6세손 승윤(承潤) 등에 의하여 수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병학(金炳學)·김상현(金尙鉉)·박규수(朴珪壽) 등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고가시(古歌詩) 11수, 권2∼4에 시 289수, 권5에 소 1편, 서(書) 17편, 서(序) 15편, 기 4편, 권7에 잡저 9편, 묘명(墓銘) 3편, 권8에 제문 12편, 문답 4편, 권9·10은 부록으로 가장·행장·묘표·묘지명·정문사실(旌門事實)·존양편(尊壤編)·존주록(尊周錄)·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고가시는 가요체의 장편고시로, 서(序)까지 곁들여 있어서 당시 선비들의 음악에 대한 일면을 엿볼 수 있는 내용이다. 서는 주로 시사·문후와 교훈적인 것이 대부분이다.

잡저 중 「금수문답(錦倅問答)」은 문인이었던 이용징(李龍徵)의 일기에서 나온 것이다. 원두표(元斗杓)의 동생 자중(子仲)과 당시의 당론에 대하여 논란, 문답한 것으로, 당시의 당쟁사 연구에 참고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