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남도 대동(大同) 출신. 1919년 3월 4일 대동군 금제면 원장(院場) 장날을 이용하여, 최능현(崔能賢)·송현근(宋賢根) 등이 주도하여 일으킨 반석면 상사리의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서영석은 원장교회의 교인으로 3월 4일 오전 10시경 합성학교(合成學校)에서 거행된 독립선언식과 구금된 동지를 구출하기 위한 모락장 진군에 참여하였다.
3,000여 명의 시위군중이 대형 태극기와 나팔수를 선두에 세우고 서쪽으로 25리 떨어진 모락장으로 행진하던 중, 한 청년이 반석면장 김종화(金宗化)가 밀고하여 일본헌병들이 무장하고 대기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이 때 매복하고 있던 일본헌병들이 무차별사격을 가하여 곳곳에서 사상자가 속출하였으나, 서영석은 청년들과 함께 선두에 서서 투석으로 대항하며 계속 전진하였다.
시위군중의 기세에 압도된 일본 헌병분견소장 사토[佐藤] 상등병은 보조원 2명과 재빨리 도망가려 하였으나 붙들려 살해되고, 구금중이던 애국지사 전원이 구출되었다.
모락장 진군의 목적은 일단 달성하였으나, 일본헌병의 무차별 사격으로 13명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40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 날의 만세시위운동에서 서영석은 선두에 서서 주동하다가 일제의 보복적인 대규모 검거 때 붙잡혀, 무기형을 언도받고 복역중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