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정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학의 시 · 제문 · 서(書) · 축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학의 시 · 제문 · 서(書) · 축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필사본. 서문은 없고, 권말에 홍재하(洪載夏)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72수, 서(書) 3편, 통문(通文) 3편, 제문 24편, 축문 3편, 행록·행장 각 1편, 권3은 부록으로 간독(簡牘) 6편, 만사 6수, 제문 17편, 유사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한사(寒士)의 궁한 생활을 대변하듯 가난의 애한을 표현한 것이 많다. 반면 「화로(火爐)」·「밀옹(蜜瓮)」 등은 그릇을 소재로 하면서 그릇이 내용물에 따라 유익하기도 하고 귀중하기도 하다는 내용을 표현한 것이다.

「청계(聽鷄)」에서는 닭소리를 들으면서 조용히 청신한 새벽을 맞이하며 선비의 일과를 시작한다는 내용을 재치 있게 묘사하였고, 「과일(科日)」에서는 과거보기 전날 밤 가슴이 설레고 불안하여 잠 못 이루는 모습을 흥미롭게 나타내었다.

「여정학경인박(與鄭學敬仁博)」에서는 입지(立志)가 학문의 기본임을 강조하고, 기본이 서지 않으면 학문도 수신(修身)도 이룰 수 없음을 주장하였다.

「통경주입석종중문(通慶州立石宗中文)」은 평천서원(平川書院)에 봉안된 최동보(崔東輔)가 3충신 중 한 사람임을 지적하고, 종중에서 별사를 지어 국가에 공이 있는 조상을 예우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밖에 「기우제축문」 등이 있는데 향토문화연구에 자료가 된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