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높이 1.5m, 대좌 높이 96㎝.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원래의 소재지를 알 수 없으나 현재 사각형의 대좌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자세로 앉아 있다.
머리 부분이 불신(佛身)보다 큰 편이며 어깨에 비해 양 무릎의 폭이 넓고 높게 표현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당당하면서도 신체 비례가 잘 맞지 않다.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의 머리 위에는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낮고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어 뚜렷하지 않다.
얼굴은 마멸이 심하여 세부 표현을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유난히 좁은 이마에 뺨이나 턱에는 양감이 있으며 미소가 남아 있다. 좁은 어깨는 목 부분과 거의 붙어 있어 움츠린 듯하다.
양감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지권인(智拳印 : 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을 하고 있는 두 손은 오히려 크고 두툼하게 표현되었다.
그리고 지나치게 가슴 위로 치켜들고 있어 어색한 느낌을 준다. 특히 지권인의 수인을 보면 오른손이 왼쪽 손가락 전체를 움켜쥔 듯하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시대 불상 이후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걸쳤다. 특히 소매 부분과 다리 아랫부분에 밀집된 옷주름 표현과 투박한 조각 기법에서 형식화된 경향이 나타나 있다.
대좌는 상 · 중 · 하대로 구성된 사각대좌로 되어 있으나 각각 떨어져 있고 불상에 비해 대좌가 유난히 높은 편이다. 상대에는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돌아가며 새겨져 있다.
중대에는 각 면을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약간 파내어 테두리 선을 만들었다. 그 안에는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갖춘 불상을 배치하였다.
앞면에 있는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을 북면으로 설정하면, 남면에는 약합(藥盒)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 동면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왼손은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의 석가불, 서면에는 상품상생인(上品上生印)의 아미타불상이 조각되었다.
즉, 비로자나불상의 대좌에서는 보기 드물게 사방불(四方佛)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사방불은 모두 여래형을 취하고 있다. 단지, 남면의 상만 육계가 없고 보발(寶髮)이 어깨에까지 내려와 있는 보살 형식 또는 두건을 쓰고 있는 지장보살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강명경 金剛明經≫에 의한 사방불은 동방 아촉불(阿閦佛), 서방 무량수불(無量壽佛), 남방 보상불(寶相佛), 북방 미묘성불(微妙聲佛)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경전에 따라 그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 비로자나불상의 대좌에 나타나는 사방불도 당시 널리 신앙되고 있었던 불상을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아래로는 우주(隅柱 : 모서리 기둥)와 탱주(撑柱: 버팀기둥)만 표현된 하대석이 놓여 있다.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비례감이 맞지 않는 신체 표현이나 당당하면서도 양감이 줄어든 모습, 다소 거칠고 투박한 조각 기법 등에서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상 양식을 계승한 고려 초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