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취라치 ()

국악
제도
조선전기 궁중의 통신 · 시위 때 각(角)을 연주한 군사.
이칭
이칭
내취각인(內吹角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궁중의 통신 · 시위 때 각(角)을 연주한 군사.
개설

내취라치는 궁중에서 임금이 교령을 내릴 때와 입직볼 때 등의 통신과, 노부(鹵簿)와 전좌(殿座)의 시위 때 궁중에서 각(角)을 연주한 군영 소속 연주자이다. 내취각인(內吹角人)이라고도 한다. 내취라치는 궁중에서 근무한다는 점에서 병조에서 근무하는 외취라치(外吹螺赤)와 구분된다.

내용

내취라치는 조선전기 궁중에서의 시위·통신을 담당한 군영의 각(角) 연주자이다. 시위는 노부(鹵簿)의 시위와 전좌(殿座)의 시위 두 종류가 있었고, 노부는 대가노부(大駕鹵簿)·법가노부(法駕鹵簿)·소가노부(小駕鹵簿)의 세 종류, 전좌는 근정전배표(勤政殿拜表)·정조·동지·탄일·정전조하[正至及誕日正殿朝賀], 정조·동지회백관[正至會百官], 회례연(會禮宴) 등이다. 통신은 임금이 교령을 내릴 때와 입직을 볼 때 담당했다.

취라치는 ‘각(角) 연주자’란 뜻으로, 몽고어의 영향을 받아 쥬라치-츄라치에서 발전한 용어이다. 쥬라는 각(角)의 고어(古語)이고, 치(赤)는 사람을 의미한다. 취라치를 몽고어(文語)의 čuγur(笛)에서 파생된 čuγurči(吹笛人)와 관련지어, 중세 몽고어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čuurči였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설도 있다.

취라치(吹螺赤)는 조선후기에 조라치(照剌赤)로 전용되기도 했다. 고려시대에 몽골어를 궁중 용어로 사용함에 따라 악공(樂工)을 졸아치(卒阿治)라고 하였다. 조선후기 겸내취를 ‘궁궐의 청소를 맡은 하인’을 뜻하는 조라치(照剌赤)라고 낮추어 부르기도 하였는데, 겸내취가 군영 소속 연주자이기도 하지만, 선전관청의 도예(徒隸) 노릇도 했기 때문이다. 취라치(吹螺赤)를 조라치로 읽은 것은 조선후기 내취가 조선전기 내취라치 제도를 계승한 것을 의미한다.

조선후기 취타내취는 궁중의 교령·군영의 교련·입직 등에서의 통신과 동가와 전좌에서 시위를 담당하고, 군영의 훈련과 왕의 거둥시 음악을 연주했으며, 조선전기 내취라치 보다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인원 규모도 커졌다.

변천과 현황

내취라치는 각(角)으로 궁중의 통신·시위를 담당한 군사이다. 궁중의 통신 시위제도에 관한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타난다. 각(角)의 연주 전통은 삼국시대부터 전승되어 왔지만, 고려시대부터 궁중의 통신·시위 제도에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취각군(吹角軍)이 위의·노부에서 연주를 담당했는데, 조선전기에는 취라치(吹螺赤)가 궁중의 통신·시위를 담당했다. 취라치는 소속이나 활동 지역에 따라 구분되었는데, 궁중에서 근무하는 취라치를 내취라치, 병조에서 근무하는 취라치를 외취라치라 했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군제가 바뀌고, 명나라 군대의 영향으로 취고수·세악수 제도가 생기게 되자, 조선전기 내취라치 제도를 바탕으로 새로운 내취제도가 형성되었다. 즉 조선후기 내취 제도는 조선전기 내취라치(內吹螺赤) 전통을 계승한 취타내취 외에 세악내취가 추가되고, 기능이 확대되었다. 내취는 선전관청에 소속된 군영악대였으나, 구군악대가 해체됨에 따라 장악원으로 이속되었다. 1908년(융희2)에는 취타내취(취고수) 24명, 세악내취(세악수) 24명 등 모두 48명이 장악과(掌樂課)로 편입되었고, 1911년 장악과가 아악대(雅樂隊)로 개칭되면서 취악내취 18명, 세악내취 18명 등 모두 36명이 아악대로 이속되었으며, 1913년에는 취타내취 10명만 남게 되었다. 1915년(대정 4) 12월 현재 장악원악원이력서(掌樂院樂員履歷書)에는 다섯 명의 내취가 남아있다. 이후 내취는 전승이 단절되었고, 그 음악은 국립국악원으로 전승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내취라치는 조선전기부터 전승되는 제도지만, 그 모태는 삼국시대에 있다. 따라서 내취라치·내취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오래된 음악문화를 전승해 온 점과 우리나라 군영음악 문화 전승의 한 축을 담당한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세악수·내취』(이숙희, 태학사, 2007)
집필자
이숙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