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

나각
나각
국악
물품
군영이나 농촌에서 신호용으로 사용하던 소라로 만든 관악기 혹은 나무(혹은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
이칭
이칭
나각(螺角), 각(角), 바라(哱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동은 군영이나 농촌에서 신호용으로 사용하던 소라나 나무(혹은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이다. 현재 군영악기로서의 기능은 소멸되고 농악 등에 쓰인다. 고동은 오늘날 나각 계통과 대각 계통의 두 종류로 전승된다. 소라로 만든 것은 나각, 대나무나 동으로 만든 것은 대각이라고 한다. 나각 계열 고동은 소라의 끝부분을 갈아 취구를 붙여 만든다. 우리나라에서 나각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구려 시대부터이다. 대각 계열 고동은 긴 대나무 끝에 쇠뿔을 달아 만들거나 나무로 만든다. 나각과 대각은 단성이라서 두 손으로 잡고 불면 소리가 난다.

정의
군영이나 농촌에서 신호용으로 사용하던 소라로 만든 관악기 혹은 나무(혹은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
개설

고동은 합방류(蛤蚌類)의 연체동물을 뜻하며 고둥의 방언이다. 악기로서의 고동(告東)은 본래 나각(螺角)을 뜻하는 용어이지만, 각(角)바라(哱囉) 계통 악기의 명칭으로 전용되었다. 고동은 군영악기의 하나였으나, 농촌지역에서 두레 작업을 할 때 신호용으로도 쓰였다. 오늘날 고동은 군영악기로서의 기능은 소멸되었고, 농악 등에 쓰인다.

연원 및 변천

고동은 나각, 대각, 바라에 연원을 둔 악기이다. 나각은 합방류(蛤蚌類)의 연체동물인 소라〔螺〕로 제작하기 때문에 나각을 고동이라 하기도 했다. 나각은 서역지방의 악기로 불교와 관련 있는 악기이며, 나(螺) · 법라(法螺) · 해라(海螺) · 옥라(玉螺) · 패(貝) · 범패(梵貝) · 옥려(玉蠡) 등으로도 불렸다.

우리나라에서 나각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늦어도 고구려시대부터이며, 고려시대에는 법가위장(法駕衛仗)의 가후(駕後)에서 연주하고, 불교에서도 나각을 사용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나각이 형명(形名)에는 포함되지 않고, 종묘제향의 무무(武舞)(정대업지무) 혹은 향악정재(정대업지무)의 의물에 포함되어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군영의 취타악기에 포함되어 훈련과 행진에 사용되었고, 불교음악에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군영과 불교의 두 방면으로 전승되었다.

고대부터 사용되어 온 나각은 조선후기 명나라로부터 도입된 취고수 악대에 편성됨으로서 취고수 취타악기 편성이 독자적 성격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경상북도 청도 차산에서는 고동, 마산에서는 죽고동 또는 목고동이라는 악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형태는 각(角) 계통이다. 고동(告東)이 본래 나각(螺角)을 뜻하는 용어이지만, 각(角)과 바라(哱囉) 계통 악기의 명칭으로 전용되었기 때문이다.

각(角)은 고대부터 군영에서 사용한 악기이다. 각종 벽화에서 각(角)을 확인할 수 있고, 고구려와 낙랑의 왕자호동낙랑공주 이야기에도 각(角)이 등장한다. 백제에서도 각(角)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시대에는 취각군(吹角軍)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취라치(吹螺赤)가 각을 연주하였다. 고구려 · 백제로부터 전승되는 각은 동일한 악기 형태를 유지한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 변화과정을 거쳤으며, 오늘날 영각 · 농각 · 땡각 · 목덩강 등의 명칭으로 농악기로 전승되고 있다.

바라(哱囉)는 뿔을 의미하는 ‘쥬라’로서, ᄇᆞ라 · ᄇᆞᆯ래 · 바라 · 보로 등으로 표기되었다. 바라는 제작 재료가 뿔이라는 점과 용도가 같다는 점에서 대각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나각과 대각과 바라는 악기형태 · 명칭 · 용도의 유사성 혹은 전승과정의 왜곡 등으로 인해 동일시 되는 경우가 있었다.

구조 및 형태

고동(告東)은 나각(螺角), 각(角), 바라(哱囉)의 이칭이다. 나각은 큰 소라껍질로 만들어, 붉은 색을 칠하거나 천으로 감싸서 사용하였지만, 오늘날에는 자연산 소라 그대로 사용한다. 대각은 나무〔木〕 혹은 동(銅)으로 만드는데 고동으로 전승된 대각은 나무로 된 목대각 계통이고, 오늘날에는 대나무로 만들기도 한다. 바라는 뿔로 만든 악기이지만, 조선후기에는 나무로 만든 붉은색 관악기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악기는 모두 단성(單聲) 악기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제조 방법

나각 계열 고동은 나원추형인 소라의 끝 부분을 갈아 취구를 붙여 만들고, 대각 계열 고동은 긴 대나무 끝에 쇠뿔을 달아 만들거나 나무로 만든다.

사용 방법 및 특징

고동은 오늘날 나각 계통과 대각 계통의 두 종류로 전승된다. 판소리 춘향가 중에 “고동은 뛰, 나발은 홍앵홍앵…”라고 묘사한 것과 같이 나각과 대각은 모두 단성이기 때문에 두 손으로 악기를 잡고 불면 소리가 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세악수·내취』(이숙희, 태학사, 200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숙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