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불보훈 ()

유교
문헌
숭정사에서 7개월간 행사한 내용을 수록한 의례서. 도교의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숭정사에서 7개월간 행사한 내용을 수록한 의례서. 도교의례서.
개설

숭정사는 정도(正道)를 숭상한다는 뜻으로 불교의 정사(精社)나 도교의 도관을 본받아 결성한 종교단체로서, 도교의 교리를 숭봉하지만 불교의 색채도 가미하고 있어 책명을 『선불보훈(仙佛菩訓)』이라 하였다.

서지적 사항

필사본. 11권 11책.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연대를 알 수 없는 정월에서 7월까지의 기록으로, 권1은 정월, 권2는 2월, 권3·4는 3월, 권5∼7은 4월, 권8·9는 5월, 권10은 6월, 권11은 7월로 되어 있다.

정월에는 12일에 행사를 시작했는데, 널리 복덕을 베풀어 신도들에게 하사할 목적으로 광경진군(廣敬眞君)이라는 도교의 선인을 초청하고자 영궤(靈几)를 설시하여 분향하면서 청선하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이때 참가한 신도들에게 절구 한 수씩을 주어 환자들을 치료해 주었는데, 병의 증상이 비슷해도 사람에 따라 각각 처방은 달랐다.

다음 행사에서는 오굉교군(吳宏敎君), 그 다음 행사에는 아미타불 등을 모시고 법회를 열었으며, 잘한 일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에게는 선명(善名)과 선과(善果)를 하사하여 그들의 마음을 치하하였다.

권3에서는 다른 곳과 달리 제자들의 학습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신도들의 능력에 따라 일정한 교육이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오장봉진인(吾長奉眞人)이나 관세음보살을 청한 일도 있어 중생을 제도하려는 흔적을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에는 500여개의 처방이 나와 있는 것이 특기할 만한 점이다. 처방을 받은 날짜와 사람이 표시되어 있고, 처방을 받은 약품명과 병 증세까지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렇게 사람을 치료해 가면서 남긴 경험 처방은 예로부터 그리 흔하지 않다.

종교적인 차원보다는 의학적인 차원에서 연구할 가치가 있고, 시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병의 치료 방법과 증상, 또는 종교에 귀의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등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도교의 전파와 의식에 대한 자료가 희박한 우리나라에서는 새삼 가치를 느낄 수 있는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