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화당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선화당
대구 선화당
조선시대사
유적
조선시대 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정청을 지칭하는 용어.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조선시대 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정청을 지칭하는 용어.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정청(政廳)으로서 고을의 동헌(東軒)에 해당한다. 정면 중앙에 ‘선화당(宣化堂)’이라는 편액(扁額)을 달았는데, 이는 ‘임금의 덕을 선양하고 백성을 교화하는(宣上德而化下民) 건물’임을 뜻하였다.

도내의 일반 행정·군사·조세 및 중요한 송사(訟事)·형옥(刑獄)의 재판이 이곳에서 행해졌다. 조선시대의 감영 정청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강원도 원주시의 선화당, 대구광역시 중구의 선화당, 충청남도 공주시의 선화당 건물 등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에 있는 원주 강원감영 포정루는 임진왜란 후 1667년(현종 8)에 중건된 것으로 197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정면 7칸, 측면 4칸의 겹처마 단층팔작지붕 건물이다.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경상감영공원 내에 있는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은 1807년(순조 7)에 중건된 것으로 2021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정면 6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국립공주박물관 내에 있는 선화당은 1937년 공주사적현창회에 의해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1980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며, 정면 8칸, 측면 4칸의 익공계(翼工系) 맞배지붕 건물이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내고장 전통가꾸기: 수원시편』(수원시청, 1981)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영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