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산업
개념
곡물의 분량을 나타내는 계량단위. 석.
이칭
이칭
목차
정의
곡물의 분량을 나타내는 계량단위. 석.
내용

예로부터 1섬의 용적은 15두(斗)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단위들은 1승(升) 10홉(合), 1두(斗) 10승과 같이 10진법 단위 제도로 되어 있었던 것에 대하여, 15진법수로 되고 있었던 것이 특이하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와 문화교류가 많았던 중국에서의 석 단위를 비교함으로써 1석이 15두로 된 경위를 살펴보면, 상고 때 중국의 양제(量制)의 기준이 된 것은 1승으로, 장년 농부가 양손을 모아 거기에 담긴 곡물량으로 정하였다.

그 부피는 대략 313.6㎤로 밝혀지고 있는데, 그것의 10배를 1두, 100배를 1석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중국 상고 때 1석은 3만 1360㎤로 되어 있었다고 본다. 이러한 옛 제도가 주3 때 제나라에서 100 대 64의 비율로 개혁되었는데 이 새로운 제도는 진나라 주1에 의하여 진나라에 도입되어 주2과 한나라의 표준양제가 된 것이다.

이러한 개혁으로 옛 1석의 용적은 새 제도에서는 15.625두가 되어 새 양제단위로는 쓸 수 없게 되자, 10두 단위에는 곡(斛)이라는 단위를 새로 정하고, 석은 120근이라고 하는 중량단위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중국에서의 석은 상앙(기원전 344) 이후 송나라가 1곡을 5두, 10두인 2곡을 1석으로 하는 단위로 복원시킬 때까지는 용적단위로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에 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681년(신라 문무왕 21)에 중국의 당나라 제도에 따라서 양제도를 3배량으로 개혁한 이후 1석이 8만 9464㎤로 추측되며, 그 3분의 1인 옛 1석은 중국 상고 때의 구량제 1석과는 겨우 5승(升)의 차이가 있을 뿐, 거의 일치하였다. 뿐만 아니라 옛 1승량인 198.8㎤도 상앙의 신량제 1승량인 201.76㎤와는 1.5작(勺) 차로 거의 일치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 상고 때와 중국 상고 때의 양제도는 동일하였고, 춘추전국시대의 양제개혁과 동일한 양제개혁이 있었음을 입증해 준다. 다만 중국에서는 신두(新斗) 10두량의 단위명을 곡으로 제정하고 그 전의 10두의 단위명인 석은 중량단위로 사용하였다. 이에 반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그 용적이 신량두(新量斗)로 15.625두가 된 뒤에도 석 단위가 백성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기에, 10두 단위명을 별도로 제정하지 않고 15두의 단위명으로 1석을 계속 사용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서 통용되고 있었던 상고 때 양제단위는 결코 진나라 제도가 도입된 것으로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상고 때 구량제도와 동일한 제도가 오랜 세월 통용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습은 지금까지도 계승되고 있어, 곡물 분량의 표기에는 반드시 석 단위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한국 도량형 제도의 특징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도량형과 국악론총』(박흥수, 박흥수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회, 1980)
주석
주1

중국 진(秦)나라의 정치가(B.C.?~B.C.338). 효공(孝公) 밑에서 법제, 전제(田制), 세제 따위를 크게 개혁하여 진 제국 성립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효공 22년(B.C.340) 상(商)에 봉함을 받았다. 우리말샘

주2

중국 진(秦)나라의 제1대 황제(B.C.259~B.C.210). 이름은 정(政).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라 칭하였다. 중앙 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의 통일, 만리장성의 증축, 아방궁의 축조, 분서갱유 따위로 위세를 떨쳤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247~기원전 210년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의 춘추 시대와 그다음의 전국 시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박흥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