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락원 ()

목차
관련 정보
성락원
성락원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조선후기 별궁의 정원. 명승.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조선후기 별궁의 정원. 명승.
내용

202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지정 면적 1만 4407㎡. 성락원은 뒤에 산등성이를 등지고 좌우에 청룡·백호의 산줄기가 벌려선 형국에 자리잡고 있다.

성락원 입구에 들어서면 두 줄기 계류가 하나로 모이는 산문(山門) 같은 계곡이 있으며, 여기에 ‘雙流洞天(쌍류동천)’이라는 글자가 계류 암벽에 새겨져 있다.

쌍류동천 안으로는 용두가산(龍頭假山)을 만들어 성락원이 밖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 용두가산은 성낙원 내원(內園)을 아늑하게 감싸서 깊이를 주기 위해 만든 인공조산(人工造山)으로 200∼300년 된 느티나무·음나무·참나무 숲이 울창하다.

내원에는 계류의 암벽 밑에 소(沼)를 조성하였다. 이 소는 장축이 16m, 단축이 약 12m이며, 물 깊이는 약 1.5m이다. 소의 주위는 자연암벽과 암반으로 이루어졌는데 물이 흘러내리는 북쪽 암벽에는 인공으로 수로를 파고 3단의 폭포를 조성하였다.

제일 위의 폭포는 낙차가 15㎝로, 직경 30㎝, 깊이 15㎝의 둥근 석구(石臼: 돌절구)에 떨어진다. 중간폭포는 낙차가 30cm로 역시 같은 크기의 석구에 떨어진다.

제일 밑단의 폭포는 낙차가 150㎝로 가장 큰데, 직경 80㎝, 깊이 20㎝의 석구에 떨어졌다가 소 속으로 넘쳐 흘러들어간다. 폭포로 떨어지는 3단의 물줄기는 생동감 있는 수경(水景)을 연출하고 고요한 계곡에 요란한 물소리를 낸다.

이 폭포 옆 바위에 ‘靑山壹條(청산일조)’라는 전서체 각자가 있으며, 소의 서쪽 암벽에는 행서체의 ‘檣氷家 阮堂(장빙가 완당)’이 새겨져 있는데, 장빙가란 겨울에 고드름이 매달린 집이란 뜻으로 김정희(金正喜)가 썼다.

이 장빙가 각자가 있는 암벽 위에 “影碧池 海生(영벽지 해생)”, “百泉會不流 爲沼碧闌頭 自吾得此水 少作江湖遊 癸卯五月 孫文鶴書(온갖 샘물을 모아 고이게 하니 푸른 난간머리에 소가 되었네. 내가 이 물을 얻은 뒤부터 약간의 강호놀이를 하네. 계묘 5월 손문학 씀).” 이라는 각자가 있다. 영벽지란 세 글자는 초서체로 썼으며, 해생이란 호를 가진 사람이 오언시를 해서체로 쓴 것이다. 계묘는 1843년(헌종 9)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성락원의 소의 명칭이 ‘영벽지’임을 알 수 있다.

이 영벽지 각자 위의 바위에 전서체로 내리쓴 또 하나의 각자가 있는데, 원문은 “明月松間照 靑泉石上流 靑山數疊 吾愛吾盧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에 비치고 맑은 샘물은 돌 위에 흐르며 푸른 산이 몇 겹 싸여 나는 내 농막을 사랑한다).” 이다.

영벽지 소 속에는 괴석 하나를 물 속에 배치하여 놓았으며, 이 영벽지 동쪽 언덕 위에 변형된 고가 한 채가 남아 있는데, 이 집은 원래 농막의 본채로 이강(李堈)이 살았다 한다.

이 집에서 숲 속의 돌계단을 오르면 또 하나의 못[池]이 영백지 위에 있다. 못 동쪽에는 근래 지은 ‘송석정(松石亭)’이란 누(樓)가 있으며, 못 북쪽 계류가에 ‘松石(송석)’이란 각자가 있어 원래 이 못가 바위 사이에 큰 소나무들이 울창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못으로 흘러내리는 계류는 중간중간에 작은 폭포를 이루기도 하며, 상류에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집수하는 기능의 못이 하나 더 있다. 성락원은 산의 계류를 이용하여 상·중·하에 세 개의 연못을 만든 곳으로 성락원 내에는 좋은 샘물도 있었으나 지금은 많이 오염되었다.

참고문헌

『성악원지정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92)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정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