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 ()

목차
언어·문자
개념
한어의 음절 첫머리에 나타나는 자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어의 음절 첫머리에 나타나는 자음.
내용

한어의 음절은 IMVET로 분석되며, I(initial의 약자)가 성모, M(medial)이 개음(介音), V(vowel)가 주모음(主母音), E(ending)가 운미(韻尾), T(tone)가 음절 전체에 걸치는 성조(聲調)가 된다.

그런데 한어는 한자(漢字)로 표기되므로 이상과 같은 분석은 각각의 자음(字音)에도 해당된다. 예를 들어 官/kwan/과 같은 자음에서는 /k/가 성모가 된다.

중국사람들은, 이 성모를 일찍부터 파악하여 자음(字音)을 성모와 그 나머지 요소로 이분(二分)하고, 후한(後漢) 때부터는 이를 반절법(反切法)에 이용하여 반절상자(反切上字)로 성모를, 반절하자(反切下字)로 나머지 요소를 나타내어 하나의 자음을 표시해 왔다.

그 뒤 당말(唐末) 북송(北宋) 때에 이르러 한어의 모든 성모를 36자모표로 나타내는 법을 마련하여 운서(韻書) 등에서 자음을 표시할 때 반절법 대신에 36자모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송·명대 중국음운학의 이론을 섭취하여 국어의 문자화에 성공하고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 및 그 보필자들은 중국의 자음이분법(字音二分法) 대신 삼분법을 고안하여, 자음을 초성·중성·종성으로 파악했다.

이 경우 초성이 성모에 해당되는데, 당시의 학자들은 15세기 조선한자음의 성모, 즉 초성을 23개로 파악하고, 이를 원용(援用)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의 초성도 23초성체계로 설정했다.

이 훈민정음 23초성체계가 그대로 15세기 중세국어의 자음체계(子音體系)가 아님은 이미 밝혀진 사실인데, 15세기 조선한자음의 분석에 관여하였던 학자들은 훈민정음 창제 직후 수행된 ≪홍무정운역훈 洪武正韻譯訓≫의 편찬과정에서, ≪홍무정운≫의 성모를 31개로 분석해 내고, 또 이와는 다른 15세기 중국북방음의 성모도 파악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 받아, 16세기의 최세진(崔世珍)은 그의 저서인 ≪사성통해 四聲通解≫에서 16세기 중국북방음의 성모까지도 언급했고, 이것을 그의 또 다른 저서인 ≪번역노걸대 翻譯老乞大≫와 ≪번역박통사 翻譯朴通事≫에서 실지로 새로운 성모체계를 나타내 보이기도 했다.

이 성모체계는 중국측에서 북방음계를 나타내 보이기 위하여 편찬한 운서 ≪운략이통 韻略易通≫(1442)의 20성모체계와 부합되는 것이었다. 한편, ≪동국정운 東國正韻≫의 23초성(성모)체계와는 달리, 15세기 전통 조선한자음의 성모체계는 15개여서 16세기 조선한자음을 나타내는 ≪훈몽자회 訓蒙字會≫(1527)부터 대개 이 같은 성모체계를 유지해 왔다.

이 중에서 ㅋ[K] 성모를 가진 한자는 중기 자료에 불과 몇 자(夬·快·獪 등)만 나타나며, ㅿ[z] 성모를 가진 한자도 17세기 이후 ㅿ음의 소실과 함께 영(零)성모가 되었다.

그래서 황윤석(黃胤錫)의 ≪자모변 字母辨≫에서도 속용(俗用) 14라고 하여 ㄱㅋㅇ ㄷㅌㄴ ㅂㅍㅁ ㅈㅊㅅ ㅎㄹ 만을 들었고, 1751년(영조 27)에 홍계희(洪啓禧)가 지은 ≪삼운성휘 三韻聲彙≫에서 조선한자음을 표시할 때 위와 같은 성모만을 나타냈다.

그 뒤 1824년(순조 24) 유희(柳僖)의 ≪언문지 諺文志≫에서는 ‘雙쌍, 喫끽’ 두 글자가 된소리로 발음된다고 지적하고 있어서, 당시에도 이들이 된소리로 발음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현대의 한자음에서도 된소리는 ‘雙쌍, 氏씨’ 등과 ‘喫끽’이 있을 뿐이며, 나머지 한자음들의 성모는 여전히 14성모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어학사』(강신항, 보성문화사, 1979)
『漢語音韻』(王力, 中革書局, 1963)
『漢語音韻學』(董同龢, 廣文書局, 1968)
『朝鮮漢字音硏究』(河野六郞, 天理時報社,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