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판본. 1706년(숙종 32) 그의 손자 김연(金演)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남구만(南九萬)·최석정(崔錫鼎)의 서문과 권말에 가선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은 시 76수, 부 2편, 여문(儷文) 1편, 상량문 1편, 권2는 서(序)·기·설·해(解)·제문·소차(疏箚)·계사(啓辭), 권3은 연중주사(筵中奏事), 연보, 권4는 행장·시장(諡狀)·신도비명·묘지명·묘표음기(墓表陰記)·사제문(賜祭文)·만사·봉안제문·축문·사시수의(賜諡收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주로 응수창화(應酬唱和)한 것이 많으나, 충군애국(忠君愛國)과 수절강개(守節慷慨)한 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송시유학귀설(誦詩愈瘧鬼說)은 저자의 문학관이 담긴 시론(詩論)으로, 특히 두시(杜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사공조참판소(辭工曹參判疏)」에서는 자신이 안눌(安訥)의 무고를 받았으므로 억울하기 짝이 없으나, 대관(大官)의 체모를 생각해서라도 물러나지 아니할 수 없다고 변명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