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선생문집 책판 ( )

목차
관련 정보
성호선생문집 책판
성호선생문집 책판
출판
유물
국가유산
1917년에 실학자 이익(李瀷, 1681∼1763)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책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이익 성호문집 목판(李瀷 星湖文集 木板)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12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공원로 100 (교동, 밀양시립박물관,독립운동기념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17년에 실학자 이익(李瀷, 1681∼1763)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책판.
개설

이익의 유고는 이익이 1763년(영조 39년) 타계한 직후, 조카이자 문인인 이병휴가 중심이 되어 충청도 예산에서 성호문인들의 협조 아래 정리되기 시작하여 1774년(영조 50)『성호선생문집』 70권이 나왔다. 그 뒤 1820년대 이익의 증손 이재남(李載南)과 안정복, 문인 황덕길(黃德吉)이 다시 분류 · 정리하다가 완성치 못하였고, 1890년 무렵 허전(許傳) 문인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와 이명익(李明翊) 등 충청지역 사림들 90여 명이 참여하여 대대적인 편교가 이루어진 결과 본문 50권으로 재편되었으나 역시 간행은 추진하지 못하였다.

『성호문집』 간행 논의는 1885년 무렵 안희원(安禧遠) · 유인목(柳仁睦) 등이 서울에서 시도한 일이 있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진척이 없었고, 1891년 가을 충청지역 성호학통 사림들이 간행을 추진하였으나 역시 결실을 보지 못하였다. 그 후 1903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문집이 경상도 산청 법물리에서 거의 완성될 즈음, 허훈(許薰) · 노상직(盧相稷) · 이병희(李炳熹) · 조병규(趙昺奎) 등 허전 문인들이 주축이 되어 간행하기로 결의하였으나, 역시 경비조달 등 문제로 추진이 늦어지다가 1916년에 들어서 간행 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내용

이 『성호선생문집』책판은 모두 800매로, 허전 문인 노상직(盧相稷) · 이병희(李炳憙) · 이병규(李炳圭) 등이 주관하여 1917년 경상남도 밀양(密陽) 퇴로리(退老里) 서고정사(西皐精舍)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른바 ‘퇴로리판’이다.

대본은 충청도 성호학통에서 보내온 1890년 이남규와 이명익 등이 편교한 『성호문집』 25책 50권이었다. 따라서 이남규 등이 편교한 문집은 처음 1774년 이병휴가 정리한 『성호선생문집』과 다를 수밖에 없다. 우선 적지않은 분량의 유고를 빼고 중요하지 않거나 번잡하다고 생각된 내용을 많이 지워버렸기 때문에 전체적인 분량이 많이 줄었다. 『성호선생문집』이 간행되어 나온 5년 뒤, 1922년 역시 경상남도 밀양 모렴당(慕濂堂)에서 안희원이 추진하여 이병휴가 편집한 문집을 대본으로 발간한 『성호선생전집(星湖先生全集)』(이익 선호전집 목판이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음)의 내용과 비교해 보면 많은 부분을 제외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퇴로리판 『성호선생문집』은 다음과 같은 체재로 간행되었다. 전면에 목록 1책 2권, 본문 25책 50권, 그리고 부록 1책으로 되어 있다. 맨 뒷부분에는 1916년 문집간행 대본을 밀양 간행소에 직접 전달한 이병휴의 6대손 이덕구(李德九)의 발문을 붙였다. 그런데 1774년 이익의 문집 정리를 마치고 『성호선생문집』의 말미에 붙인 이병휴의 발문이 어떤 이유인지 퇴로리판에는 빠져있고 모렴당판에는 들어있다. 그러나 퇴로리판 『성호선생문집』과 모렴당판 『성호선생전집』 부록 체재의 순서와 내용은 같다.

이 판목은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 이우성이 소장하고 있고,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퇴로리판으로 간행한 『성호선생문집』은 여러 차례의 시도 끝에 순탄치 않은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특히 문집간행 출연록에 따르면 판목을 새기는데 필요한 경비를 주로 경상도와 충청도지역 성호학통 허전 문인들이 주축이 되어 41개 문중 70여 명의 헌신적 출연이 있었기에 추진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판목은 성호학통을 이으려는 후학들의 자부심과 긍지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성호이익의 학문과 사상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는 사료라 하겠다.

참고문헌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선본해제10』(국립중앙도서관, 2008)
『경남문화재대관』(경상남도, 1995)
디지털한국학(koreandb.net)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효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