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운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소학사전(蘇學士傳), 월봉기(月峰記), 봉황금(鳳凰琴), 월봉산기(月峰山記)
내용 요약

「소운전」은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중국 명나라 때 창작된 「소지현나삼재합」을 당대 우리의 정서에 맞게 개작한 것으로, 소운과 정씨 및 유복자인 소태를 중심으로 하여 소씨 집안 사람들의 이산과 가족 재회의 과정을 그린 가정소설(家庭小說)이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및 이본

1책. 국문 주1. 일명 「소운전」, 「소학사전(蘇學士傳)」이라고도 한다. 「월봉산기(月峰山記)」, 「월봉기(月峰記)」 등의 작품과도 같은 계열이며, 신소설기에 출간된 「봉황금(鳳凰琴)」도 같은 작품이다.

필사본에는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윤전」 2책본과 1책본이 있으며, 방각본(坊刻本)에는 경판본(京板本) 「월봉기」와 완판본(完板本) 「별월봉기」가 있다. 더불어 활자본(活字本)에는 「봉황금」 등이 있다.

내용

활자본을 중심으로 작품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탁주 구계촌에서 나고 자란 소운은 과거에 급제한 뒤 남쪽 변방 고을인 남계현 주3직을 주4받고, 어머니 장씨와 아우 소우와 작별하고 부인 정씨와 함께 주5로 향한다. 가는 도중 서룡이라는 도적에게 속아 그의 배에 탔다가 황천탄이라는 무인도에 이르러 소운은 대해(大海) 속에 던져지고, 부인은 감금된다.

다행히 소운은 널빤지에 의지하여 표류하다가 후주 땅 도곤에게 구출되었으나, 다리에 병을 얻어 고향을 찾지 못하고 도곤의 집에서 주7을 가르치며 세월을 보낸다. 한편, 부인 정씨는 서룡의 아우 서봉의 도움으로 서룡의 주8에서 벗어나고, 이후 여승(女僧)의 구원을 받아 산사(山寺)에 의탁한다.

이때 부인은 만삭(滿朔)이었는데, 이 산사에서 주14를 낳았다. 부인은 여승들만 거처하는 산사에서 아이를 기르기 곤란함을 알고 주15에 아이의 생년 일시를 적고 가락지와 함께 아이를 싸서 길에 버린다.

때마침 부인의 종적을 탐지하던 서룡이 아이를 주워다가 서계조라고 이름을 짓고, 자기 아들로 삼아 양육한다. 18세가 된 서계조는 과거를 보려고 황성(皇城)으로 간다. 도중에 탁주 구계촌 소 주18의 집에 들러 장씨 노파(老婆)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고, 장씨 노파의 아들을 찾아달라는 청탁(請託)을 받는다.

서계조는 과거에 급제하여 주21가 된 다음, 자신에게 출생의 비밀이 있음을 알고 조덕삼을 문초(問招)하여 자기가 서룡의 친아들이 아님을 확인한다. 또한 주23 앞으로 제출한 어머니 정씨의 원정서를 보고, 나삼과 단금을 증거로 자신이 소운의 아들임을 알게 된다.

서계조는 이름을 소태로 고친다. 그리고 주점(酒店)에서 소운을 만나 이야기 끝에 소운이 자신의 아버지임을 확인한 다음, 월봉산 산사에 은거(隱居)하는 어머니 정씨를 찾아낸다. 또 서룡 일당을 잡아 부모의 원수를 갚고 귀환하여, 할머니 장씨까지 일가(一家)가 모두 모여 행복하게 산다.

소태는 과거 급제 직후 왕 상서(尙書)의 딸과 정혼(定婚)한 적이 있었는데, 다시 공주와의 혼사(婚事)가 이루어져서 한 번에 두 명의 부인과 주28한다.

또한, 어사(御使)로 주46할 때 물에 빠진 정 소저(小姐)를 구해 준 적이 있었는데, 후일 정 소저가 소태에게 구혼(求婚)한다. 이로써 소태는 정 소저를 셋째 부인으로 맞이한다. 뒤에 소태가 위급한 병에 걸리자, 정 소저는 자신의 다리 살을 베어 치료하는 주33을 행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중국 명대(明代)의 소설인 「소지현나삼재합(蘇知縣羅衫再合)」을 주35한 것이다. 소운, 소우, 장씨, 정씨 등 등장인물의 이름은 일치하나 서룡, 서봉, 도곤 등으로 등장인물의 이름을 다르게 바꾸어 고쳤다. 또한, 세부적인 사건이나 작품의 주42는 한국적으로 개작하였다.

「소학사전」은 「소운전」보다도 훨씬 개작의 폭이 넓어 「소운전」이 번안된 뒤 다시 개작된 작품이다. 「봉황금」 역시 후대에 개작된 작품이다. 「월봉산기」는 작품 후반부에 소태의 셋째 부인으로 들어온 정씨의 절행을 확대(擴大)하고 부연하고 있으나, 전반부는 「소운전」과 일치한다.

특히, 「소학사전」은 소태를 영웅으로 부각시키고 군담(軍談)을 첨가하고 있어 조선조 군담소설(軍談小說)로 번안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봉황금」은 사건 서술에 주41 수법(手法)을 사용함으로써 과감하게 현대소설의 기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여인의 고난상을 부각시키고 주47 주48을 주된 정조로 했다는 점에서 신소설식으로 번안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에 폭발적인 인기를 누린 것으로 확인된다. 「소운전」계 활자본은 1915년에 출판된 동미서시본 「봉황금」을 필두(筆頭)로 하여 1918년 보성사(普成社)에서 출판된 「소운뎐」에 이르기까지 약 32개월 동안 9종이 출판되었으며, 「춘향전」, 「삼국지연의」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출판된 주43으로 확인된다. 여기에는 전대(前代) 방각본 출판으로 독자 흥행을 검증받았다는 점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형석, 「「蘇雲傳」系 舊活字本 古小說 硏究」(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서대석, 「소지현나삼재합계 번안소설연구」(『동서문화』 5, 계명대학교동서문화연구소, 1972)
이명구, 「이조소설의 비교문학적 연구」(『대동문화연구』 5,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68)
주석
주1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2

나서 자람. 또는 그런 과정. 우리말샘

주3

신라 때부터 조선 시대까지 둔, 현(縣)의 으뜸 벼슬. 품계는 종오품이며 신라 때에는 대소의 구별이 없이 각 현에 두었다가, 고려ㆍ조선 시대에는 큰 현에만 두었으며, 작은 현에는 감무 또는 현감을 두었다. 우리말샘

주4

추천의 절차를 밟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우리말샘

주5

임무를 받아 근무하는 곳. 우리말샘

주6

넓고 큰 바다. 우리말샘

주7

글방에서 글 배우는 아이. 우리말샘

주8

음험하고 흉악한 손길. 우리말샘

주9

여자 승려. 우리말샘

주10

산속에 있는 절. 우리말샘

주11

어떤 것에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김. 우리말샘

주12

아이 낳을 달이 다 참. 또는 달이 차서 배가 몹시 부름. 우리말샘

주13

아이를 낳음. 우리말샘

주14

어린 사내아이를 귀엽게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5

얇고 가벼운 비단으로 만든 적삼. 여름 옷감으로 알맞다. 우리말샘

주16

없어지거나 떠난 뒤에 남는 자취나 형상. 우리말샘

주17

황제가 있는 나라의 서울. 우리말샘

주18

중국 송나라ㆍ청나라 때에 둔 현(縣)의 으뜸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19

청하여 남에게 부탁함. 우리말샘

주20

늙은 여자. 우리말샘

주21

조선 시대에, 지방에서 변란이나 재해가 일어났을 때 두루 돌아다니며 사건을 진정하던 특사. 우리말샘

주22

죄나 잘못을 따져 묻거나 심문함. 우리말샘

주23

어사의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25

고려 시대에 둔 육부(六部)의 으뜸 벼슬. 성종 14년(995)에 어사(御事)를 고친 것으로 정삼품이며, 뒤에 판서(判書)ㆍ전서(典書)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6

혼인을 정함. 우리말샘

주27

혼인에 관한 일. 우리말샘

주28

혼인의 예식을 지냄. 우리말샘

주29

감독하거나 단속하기 위해 돌아다님. 우리말샘

주30

‘아가씨’를 한문 투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1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 우리말샘

주32

결혼을 청함. 우리말샘

주33

절개를 지키는 행실. 우리말샘

주34

명나라 시대. 우리말샘

주35

원작의 내용이나 줄거리는 그대로 두고 풍속, 인명, 지명 따위를 시대나 풍토에 맞게 바꾸어 고침. 우리말샘

주36

다르게 바꾸어 새롭게 고침. 우리말샘

주37

작품이나 원고 따위를 고쳐 다시 지음. 또는 그렇게 한 작품. 우리말샘

주38

모양이나 규모 따위를 더 크게 함. 우리말샘

주39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을 덧붙여 자세히 말함. 우리말샘

주40

전쟁에 대한 이야기. 우리말샘

주41

이야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사건의 한가운데에서 이제까지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되어 온 것인지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서술법. 이야기를 전개할 때 한 사건을 이야기한 뒤, 그 사건보다 먼저 일어난 일을 나중에 이야기한다. 우리말샘

주42

단순한 감각에 따라 일어나는 감정. 예를 들어, 아름다운 빛깔에 대한 좋은 감정, 추위나 나쁜 냄새에 대한 불쾌한 감정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43

국문 소설류를 신식 활판 인쇄기로 찍어 발행한 것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4

슬픔과 기쁨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5

헤어지고 만남. 우리말샘

주46

감독하거나 단속하기 위해 돌아다님. 우리말샘

주47

슬픔과 기쁨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8

헤어지고 만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