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규범 ()

목차
관련 정보
소학규범
소학규범
문헌
1905년 장인식이 『소학』에서 여성의 교육에 필요한 대목만 발췌하여 엮은 교재. 편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05년 장인식이 『소학』에서 여성의 교육에 필요한 대목만 발췌하여 엮은 교재. 편록.
내용

3권 1책. 상편에는 입교(入敎) 29장, 중편에는 명륜(明倫) 70장, 하편에는 선행(善行) 43장으로 편집하였다.

장인식은 서문에서 옛날에는 여자아이도 일곱 살이나 여덟 살부터 가르쳤다고 밝힌 뒤, 처음에는 글로 된 『효경』·『열녀전(烈女傳)』과 그림으로 된 『삼강행실도』·『효자도(孝子圖)』 등을 배우며 일상생활에서 절도와 예의를 바르게 익히고, 언어와 행동에 있어서 지켜야 할 점, 남녀의 구별 및 길쌈 등을 가르치고 제사(祭祀)를 돕게 하기 위하여 편집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 책은 『소학』에서 부분적으로 발췌한 것이나 『여사서(女四書)』 등과 함께 여성교육에 대한 의식과 방법 등을 알려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참고문헌

『소학문답(小學問答)』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