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헌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전서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전서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석인본. 1897년 손자 화수(華秀)·기수(岐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영선(柳永善)의 서문, 권말에 권순명(權純命)·전원식(田元植)·전기수(田岐秀)의 발문이 있다. 전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06수, 서(書) 2편, 잡저 14편, 권2에 잡저 33편, 서(序) 2편, 기(記) 3편, 제발(題跋) 5편, 변(辨) 1편, 제문 1편, 부록으로 행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하락(河洛)」에서는 하도낙서(河圖洛書)에 대한 철학적 규명을 통해 만물의 변화와 음양오행의 관계를 통찰하였다. 「선후천(先後天)」에서는 복희(伏羲) 선천(先天)의 체(體)와 문왕(文王) 후천(後天)의 용(用) 관계의 조화로운 질서를 논리적으로 규명하였다.

「태극(太極)」에서는 태(太)를 대일(大一)의 상(象)으로, 극(極)을 극지(極至)의 의(義)로 보아 음양오행 및 이기(理氣)를 설명하고 있어 저자의 경전에 대한 철학적 깊이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한무제기박망원(漢武帝起博望苑)」·「위상간벌흉노(魏相諫伐匈奴)」·「엄우간신망(嚴尤諫新莽)」·「황소입장안(黃巢入長安)」·「한문공제전횡문(韓文公祭田橫文)」 등 다수의 글은 중국 역사에서 후세에 경계가 될 만한 사건을 간추려 비판적 안목으로 논한 것이다. 저자의 사관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이다.

「동사만록(東史謾錄)」은 단군·기자조선의 건국 의의, 신라 삼성(三姓)의 신화적인 탄생 설화에 대한 논리적 비판, 고려·조선의 성쇠 존망의 원인을 종교와 교육의 측면에서 분석, 비판하고 있다. 역사의 시각을 새롭게 하는 자료로 평가된다.

이밖에 「강서존덕성(江西尊德性)」은 육구연(陸九淵)이 존덕성(尊德性)을 주장으로 삼고 도문학(道問學)은 절거해 버린 학문적 오류에 대해 이론적으로 반박한 내용이다. 그가 남긴 논설 중 비중 있는 글로 주목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