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교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송교유고
송교유고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이목의 서(書) · 제문 · 진향문 · 기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이목의 서(書) · 제문 · 진향문 · 기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4권 2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서(書) 31편, 구언(求言) 1편, 요(謠) 2편, 전(箋) 1편, 제문 11편, 진향문 1편, 기우문 1편, 권2∼4는 부록으로 행장·신도비명 각 1편, 치제문 4편, 연보 1편 등이 실려 있다.

서는 이 책의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주로 저자의 정치에 대한 의견이 나타나 있다. 「답송진안연(答宋鎭安淵)」·「답김승지집(答金承旨集)」에서는 제례 중 부제(祔祭)를 폐지하여도 좋다고 설명한 것에 대하여 예의절차상 그럴 수 없다는 반대의견을 제시하였다.

「태학팔도통문(太學八道通文)」에서는 이황(李滉)의 학문은 천년이 가도 존재할 귀한 것이라 강조하고, 정인홍(鄭仁弘)이 자기 스승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 발문을 쓰면서 이황을 비판한 사실에 대하여 유림이 모두 궐기, 성토할 것을 호소하였다.

「태묘가요(太廟歌謠)」와 「친경가요(親耕歌謠)」는 조선 후기의 궁중 가요로, 태묘에 올리는 기원과 친경으로 권농하는 깊은 뜻을 담았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