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림 석탄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황해북도 송림시에 있는 팽이토기 등이 출토된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유적.
유적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소재지
황해북도 송림시
내용 요약

송림석탄리유적은 황해북도 송림시에 있는 팽이토기 등이 출토된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유적이다. 송림석탄리유적의 주거지에서는 팽이토기와 턱자귀를 비롯한 여러 유물이 출토되었다. 주거지는 내부 구조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지며, 이 중 기둥구멍이 전혀 없거나 벽체에만 있는 형태는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대표한다. 송림석탄리유적은 주거지와 출토 유물로 볼 때 팽이토기 문화의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계속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정의
황해북도 송림시에 있는 팽이토기 등이 출토된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송림석탄리유적(松林石灘里遺蹟)은 황해북도 송림시에 있다. 대동강으로 흐르는 매상천 옆의 낮은 야산에 자리하며, 1964년과 1965년, 1971년, 1973년 4차에 걸쳐 발굴 조사가 되었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의 주거지 1기,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32기와 주1 2기를 비롯하여 고구려 무덤 등이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신석기시대 주거지는 상당 부분 파괴되어 원래의 모양을 알기 어려운 상태였으며, 줄무늬가 새겨지고 바닥이 둥근 모양의 토기와 슴베 없는 주2 등이 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모두 직사각형으로 바닥이 불다짐 처리되고 화덕이 설치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일반적인 모습을 띤다. 주3의 배치에 따라 크게 세 종류로 나누어진다.

첫째 종류는 기둥구멍이 전혀 없거나 벽체에만 있는 것이고, 둘째 종류는 첫째 종류의 바닥 중앙부에 장축을 따라 기둥구멍이 한 줄로 늘어서 있는 것이다. 셋째 종류는 세 줄의 기둥구멍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각 종류의 주거지는 출토 유물에 의해 첫째→둘째→셋째 종류로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째 종류의 주거지는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둘째와 셋째 종류의 주거지는 극히 일부의 유적에서만 확인되고 있을 뿐이다.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의 특징적 유물인 주4주5를 비롯하여, 긴목항아리, 간돌도끼, 반달돌칼, 간돌검, 간돌화살촉, 대팻날토끼, 돌끌, 별모양석기, 달모양석기, 가락바퀴, 그물추 등이 있다. 돌널무덤은 바닥과 벽을 널돌로 조립한 것이며,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의의 및 평가

송림석탄리유적은 주거지와 출토 유물을 통해 볼 때 대동강 유역 청동기시대인 팽이토기 문화의 이른 시기부터 늦은 시기까지 계속된 유적이다.

연대에 대해 북한에서는 서기전 4000년경부터 2000년을 전후한 시점으로 보는 반면, 남한에서는 대체로 상한(上限)을 서기전 1500∼1200년경으로 보고 있어 견해의 차이가 큰 편이다.

참고문헌

논문

문수균, 「서북한지역 각형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고고학』 10-2, 중부고고학회, 2011)
최종모 · 김권중 · 홍주희, 「각형토기문화유형의 연구」(『야외고고학』 창간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6)
림룡국, 「팽이그릇시기 집자리의 연원」(『조선고고연구』 2,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2002)
서국태, 「팽이그릇문화의 편년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 2,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96)
리기련, 「석탄리유적발굴보고」(『유적발굴보고』 1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박선훈 · 리원근, 「석탄리 원시 유적 발굴 중간 보고」(『고고민속』 3, 사회과학원 출판사, 1965)
리원근 · 박선훈, 「원시 시대의 큰 부락터를 발견」(『고고민속』 3, 사회과학원 출판사, 1964)
주석
주1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서 쓴 무덤. 주로 청동기 시대에 썼다.    우리말샘

주2

돌을 갈아 화살의 머리에 붙인 첨두기. 신석기 시대에 처음 만들어져 주로 청동기 시대에 제작되고 사용되었으며, 초기 철기 시대에도 일부가 지속되었다. 원거리의 짐승을 잡는 수렵용으로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3

움집터의 바닥 같은 데에 기둥을 세우기 위하여 파 놓은 구멍.    우리말샘

주4

바닥이 좁고 윗부분이 벌어져 올라가 쇠뿔과 비슷한 팽이 모양을 한 토기. 청동기 시대에 청천강 남쪽부터 한강 북쪽 서부 지방에서 만들어졌다.    우리말샘

주5

몸 중간에 턱지게 만든 자귀. 평안남도 및 황해도 지역의 청동기 시대 팽이 토기 유적에서 주로 나온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