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암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25년 후손 정추(鼎樞)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배정휘(裵正徽)의 서문과 권말에 나흠(羅欽)·정추의 발문이 있다. 8권 4책의 목판본으로 출간된 『강양세고(江陽世稿)』에 합편되어 전하는데, 권1의 앞부분에는 『눌재유집(訥齋遺集)』이 실려 있고 권1의 뒷부분부터 권6까지 3책이 『송암유집』이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 있다.

권1∼4에 시 532수, 권5·6에 서(書) 68편, 잡저 6편, 상량문 1편, 정문(呈文) 3편, 제문 8편, 비명 1편, 부록으로 만사 2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중기의 영향을 받아 간결하면서 청고하고, 시상을 소재 안에서 독특하게 착안한 것이 특색이다. 「제노송정(題老松亭)」·「행도탄금대유감이작(行到彈琴臺有感而作)」은 명승고적의 색다른 의의와 숨은 뜻을 찾고자 한 시이고, 「영졸(咏拙)」과 「만음(謾吟)」은 때를 만나지 못해 지식을 활용할 수 없는 선비의 처지를 묘사한 것이다.

서 중 「여정경식(與鄭景式)」·「여이효숙(與李孝叔)」·「여이춘장(與李春長)」 등은 학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저자의 해박한 지식이 정리되어 있다. 「와유금강록서(臥遊金剛錄序)」는 여러 금강산유람기를 참작하고 와유(臥遊)하면서 그 노정과 명승들을 상상으로 묘사한 것이다.

「병자란시이의량사정심순상문(丙子亂時以義糧事呈沈巡相文)」과 「이세목작미사정임순상문(以稅木作米事呈林巡相文)」은 병자호란을 치르면서 난리에 시달리는 주민들의 처참한 광경을 보고한 글로, 장정이 없으니 군역을 군량미 모집으로 대체할 것과 목화가 흉작이니 세금을 곡물로 대체해줄 것 등을 건의하고 있다.

이밖에도 충신과 역도의 구분을 엄하게 할 것을 청한 「재화산재소청문(在花山齋疏請文)」이 있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