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치경(稚經). 송지렴(宋知濂)의 손자, 송단화(宋端和)의 아들이다.
1858년(철종 9)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입격되었다. 1863년(고종 즉위년) 12월 사헌부지평을 지내고, 이듬해에는 홍문관수찬에 임명되었다. 이 때 김진형(金鎭衡)사건에 관련된 상소를 자주 올리기도 하였다.
그 해 6월 효문전(孝文殿) 헌례시에는 대축(大祝)으로 참여하여 가자(加資)되었으며, 9월에는 승정원우부승지로 있으면서 뇌이(雷異)가 잦은 이유로 왕에게 진면(陳勉)의 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865년에는 좌승지에 오르고 부제조(副提調)에 차하(差下)되었다. 이해 9월에는 경복궁의 각 전당(殿堂)의 각 문의 현판에 대한 서사관(書寫官)을 임명할 때 만춘전(萬春殿) 서사관에 임명되었다. 이듬해는 우승지를 거쳤다.
1867년 성균관대사성에 올랐으며, 1870년 1월 이조참의가 되었다. 이 해 3월에는 가자를 받았으며, 이듬해에는 외직인 의주부윤으로 임명되어 신미양요와 관련된 일들을 처리하였다. 1872년에는 이조참판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