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진본 ()

목차
출판
개념
소매 속에 넣고 다닐 수 있게 만든 작은 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매 속에 넣고 다닐 수 있게 만든 작은 책.
내용

우리 나라에서는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유생(儒生)들이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시문류(詩文類)를, 학승(學僧)들이 주요 불경을, 그리고 그 밖의 인사들이 평상시 자주 보는 것을 조그마한 책에 깨알같이 작은 글씨로 써서 소매에 넣고 다닌 데서 널리 유행되었다.

일본에서는 이를 ‘마메혼(豆本)’이라 부르는데, 우리 나라의 책에 그 용어를 그대로 쓰는 이도 있다. 중국에는 ‘건상본(巾箱本)’이라는 용어가 있다.

≪남사 南史≫에 의하면, 제(齊)나라의 왕균(王鈞)이 손수 오경을 써서 한권으로 만들어 상자에 넣어 보자기로 싸두었다가 필요할 때 편리하게 볼 수 있게 하였더니, 여러 왕들이 그 사실을 듣고 서로 다투어 만들어 늘 좌우에 두고 보았다고 전해진다.

또 ≪서경잡기 西京雜記≫에는 갈홍(葛洪)이 ≪한서 漢書≫ 100권을 초출하여 2권으로 만들어 상자에 넣고 잘 싸서 휴대할 수 있게 하였는데, 집에 불이 나자 손쉽게 가지고 나올 수 있어 그 재난을 모면했다고 적혀 있다.

그리하여 남송(南宋) 때에는 서사(書肆)들이 그러한 작은 책을 만들어 파는 일이 성행하였으며, 여기서 건상본이라는 용어가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이 뒤에 소매에 넣고 다니며 익히고, 외우고, 참고하는 수단으로 크게 유행되어 수진본이라는 용어가 쓰이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서지학』(천혜봉, 민음사, 1997)
『古籍版本淺說』(陳國慶, 中國 遼寧出版社, 1957)
『圖書板本學要略』(屈萬里·被得, 中華文化出版事業委員會, 1955)
『書誌學序說』(長澤規矩也, 吉川弘文館, 196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