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가족
의례·행사
시신의 머리를 빗기고 목욕을 시킨 뒤에 옷을 갈아 입히는 상례의식. 상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시신의 머리를 빗기고 목욕을 시킨 뒤에 옷을 갈아 입히는 상례의식. 상례.
내용

사람이 죽으면 곧 복(復)을 불러 초혼(招魂)을 하고 시신을 깨끗한 방에 옮기게 된다. 이때 시상(尸牀)을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집안의 형편에 따라 바닥에 그대로 안치하는 것이 요즘에는 일반화되어 있다.

그리고 일가와 친지에게 부고(訃告)하여 사망을 알리고 그 뒤에 행하는 절차가 습이다. 습을 행하는 데 있어서 두 사람 이상이 동시에 죽었다면 존장(尊長)부터 습을 하고, 하루나 이틀 사이를 두고 죽었다면 먼저 죽은 사람부터 습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 절차로는 먼저 깨끗한 곳을 가려서 구덩이를 판다. 그리고는 탁자를 동쪽 벽 아래 설치하고 습에 필요한 기구를 진설한다.

그 기구로는 상석(牀席)·요·베개·탁자·복건(幅巾)·망건(網巾)·심의(深衣)·단령(團領)·직령(直領)·대(帶)·과두(裹肚)·도포·한삼(汗衫)·바지·단고(單袴)·소대(小帶)·늑백(勒帛) 등이 있는데, 이것은 남자에게 사용되는 것이다.

엄(掩)·시(襹)·심의·단의(褖衣)·원삼(圓衫)·장오자(長襖子)·대·삼자(衫子)·저고리·소삼(小衫)·과두·치마·고(袴)·단고·채혜(彩鞋)는 부인에게 사용되는 것이며, 충이(充耳)·명목(幎目)·악수(幄手)·말(襪)·모(冒)·거포(擧布)·관분(盥盆)·세건(帨巾)은 공동으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또한 탁자를 서쪽 벽 아래 설치하고 목욕과 반함(飯含)의 기구를 준비한다. 그 기구로는 따스한 물을 담은 그릇, 와반(瓦盤) 3개, 반(潘), 목건(沐巾), 욕건(浴巾), 식건(拭巾) 2개, 빗, 끈, 비녀, 작은 주머니 5개, 명건(幎巾), 돈[貝] 3개, 쌀, 구슬상자, 쌀그릇, 버드나무 숟가락, 세숫대야, 수건 등을 말한다.

이 기구는 일반적으로 양반사회에서 사용된 것이므로 서민층에서는 대용(代用)한 것이 많고, 반의 경우 임금은 향탕(香湯)을 사용하고 서민은 쌀 씻은 물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근래에 와서는 대개 향탕을 사용하고 있다.

목욕을 시키는 절차는, 시자(侍者)가 먼저 자기 손을 깨끗이 씻고 향탕과 물을 들고 들어가면 집상하는 사람들이 모두 휘장 밖으로 나와 북향하여 선다. 종사하는 사람이 머리를 감긴 뒤 빗으로 빗기고 수건으로 닦아 상투를 트는데, 여상(女喪)인 때는 비녀를 쓴다.

끈으로 머리를 묶고 비녀를 옆에 가로놓은 뒤 떨어진 머리털을 거두어서 주머니에 담고 죽을 때 입었던 옷과 복의(復衣)를 모두 벗기고 이불을 덮은 뒤 목욕시킨다. 목욕의 순서는 먼저 얼굴을 닦고 다음에 손을 닦으며 다음에 이불을 걷고 목욕을 시키는데, 상체로부터 하체에 이른다.

이때 상체와 하체를 씻는 물을 따로 쓰며, 수건도 상하를 따로 쓴다. 그리고 나서 명건으로 얼굴을 덮고 손톱과 발톱을 깎는다. 그 순서는 왼손, 오른손, 왼발, 오른발의 순이며 각각 다른 주머니에 담아 둔다. 이때에 빠진 수염이나 이가 있어도 따로 주머니에 담아 둔다.

그리고는 이불을 덮어 대렴(大斂)을 기다리며, 목욕시키고 남은 물과 건즐(巾櫛)을 구덩이에 버린다. 시자가 습상(襲牀)을 휘장(幃帳) 밖에 따로 설치하고 습에 필요한 여러가지 도구를 놓은 뒤 들고 들어가서 시신을 그 위에 올려놓고 시상(尸牀)을 방의 중앙에 옮긴다.

처상(妻喪)일 경우 중앙에서 조금 옆으로 옮기고, 어린이는 가에 놓는다. 그리고 전물(奠物)을 진설하고 집상하는 사람이 모두 곡(哭)을 한다. 그 뒤 반함을 하는데, 모두 좌단(左袒)을 하고 손을 씻은 뒤 상자를 들고 들어가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시신의 입 오른쪽에 넣고 돈을 넣으며, 왼쪽과 중간에도 똑같이 한다.

집상하는 사람이 습하는 곳에서 옷을 한쪽 어깨에 걸치고 제자리로 돌아오면 종사하는 사람이 습을 마치고 이불을 덮는다. 이때의 절차는 복건을 걸치고 귀를 막으며, 눈을 가리고 신발을 신기며, 심의를 입히고 대대(大帶)를 맺으며, 악수를 설치하고 이불을 덮는다. 그리고는 영좌(靈座)를 만들고 혼백(魂帛)을 설치하면 습의 절차는 끝난다.

참고문헌

『사례편람(四禮便覽)』
『술고상제(述古常制)』
『사계집(沙溪集)』
『퇴계집(退溪集)』
『가례(家禮)』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